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岩寺洞式土器와 水佳里Ⅰ式土器

이용수 16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李承允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9호, 27~4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암사동식토기와 수가리Ⅰ식토기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기형과 문양 대를 중심으로 상호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가리Ⅰ식토기에서 나타나는 첨저의 기형 및 구경보다 큰 기고의 심발형의 그룹, 전면 삼부위시문기법과 구연부단사집선 문 및 구연부종속문의 모티브 등은 수가리Ⅰ식토기의 전 단계인 영선동식토기에서는 계보를 찾기 어려운 점으로 볼 때 암사동식토기의 요소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고보다 큰 구경의 발형의 그룹, 구연부의 각종 집선문의 시문은 암사동식토기에서는 계보를 찾기 어려운 점으로 볼 때 영선동식토기의 요소로 판단된다. 수가리Ⅰ식토기는 또한 암사동식토기의 구연부단사집선문과 구연부종속문의 모티브를 수용하면서 다른 양식 으로 발전한다. 즉 수가리Ⅰ식토기는 암사동식토기의 영향에 의해 성립하지만 일 적인 영향이 아닌 기존의 전통인 영선동식토기문화를 기본으로 하여 암사동식토기 문화를 수용하며 성립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암사동식토기의 절대연대가 수가리Ⅰ식토기보다 어느 정도 이른 점은 수가리Ⅰ식토기의 성립에 암사동식토기가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음을 나타내는 근거 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attempted a comparative study of Amsadong-type earthenware and SugariⅠ-type earthenware to discuss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ith emphasis on the shape of the vessel and the decoration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atures discovered in SugariⅠ-type earthenwares including the shape of the vessel s bottom resembling a cannonball and simbal-type group with the height taller than the diameter of its mouth, the front Sambuwisimoon patterns technique, Dansajipseonmoon patterns at the mouth and the motif found in the Jongsokmoon at the mouth were thought to be an element of Amsadong-type earthenware, as they were not found in the Youngseondong-type earthenware preceding the SugariⅠ-type earthenware. And the Balhyong group with the mouth larger than the vessel s height and various Jipseonmoon decoration patterns were thought to be an element of the Youngseondong-type earthenware, as no lineage could be traced to the Amsadong-type earthenware. Also SugariⅠ-type earthenware accepted the motif of Dansajipseonmoon and Jongsokmoon patterns of the mouth found in Amsadong-type earthenwarem and then developed them by transforming into other patterns. That is, although SugariⅠ-type earthenware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Amsadong-type earthenware culture, it was founded based on the existing traditional Youngseondong-type earthenware culture, Finally the fact that the absolute age of the Amsadong-type earthenware precedes that of SugariⅠ-type earthenware indicated the presence of Amsadong-type earthenware s influence over the establishment of SugariⅠ-type earthenwar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암사동식토기와 수가리Ⅰ식토기의 비교
Ⅲ. 암사동식토기와 수가리Ⅰ식토기의 관계에 대하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承允. (2010).岩寺洞式土器와 水佳里Ⅰ式土器. 한국신석기연구, (19), 27-48

MLA

李承允. "岩寺洞式土器와 水佳里Ⅰ式土器." 한국신석기연구, .19(2010): 2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