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상례와 상여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1

영문명
A Study of Funerals and Bier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윤병화(Yun Byung-hwa) 양애란(Yang Ae-ran)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1집,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29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은 유한한 존재이기에 죽음은 불가피하며,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지극히 개인적인 현상으로 한번 죽으면 다시 살아올 수 없다. 그래서 인간은 죽는 당사자의 공포나 슬픔을 위로하는 동시에 산자가 느끼는 슬픔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禮) 의식을 행한다.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중국의 영향으로 유교적 생활풍습인 관혼상제(冠婚喪祭)의 통과의례를 다양한 예법(禮法)으로 정성껏 행하였다. 그 중 상례(喪禮)는 죽은 자를 위한 예이며 본인뿐만 아니라 자손대대로 복을 가져다주는 효의 기본이라 여겼다. 상례에는 많은 절차를 치르기 때문에 다양한 상구(喪具)가 사용되었고 그 중 죽은 자를 장지(葬地)까지 옮기는 상여는 가장 중요한 용구였다. 상례의 절차는 복잡하고 기간도 길기 때문에 상례에 쓰이는 각종물품이 많다. 특히, 고인을 장지까지 운반하는데 쓰이는 상여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상여의 외부는 집의 형태를 띠며 각종 인물형, 동물형, 식물형의 장식으로 치장하고 방상시(方相氏), 삽 등의 부속물을 동원하여 고인이 저승까지 가는 길을 안전하게 갈수 있도록 바라는 내세관과 효심이 담겨있다.

영문 초록

As men are finite beings, death is unavoidable. It is an extremely personal phenomenon that cannot be substituted by anyone and no one can come back once deceased. Therefore, people perform rituals to console the fear or sadness of the deceased and overcome the mourning of the living. Korea was influenced by China and performed various rites for the four ceremonial occasions of the Confucian customs, which are the coming of age, wedding, funeral, and ancestral rituals. Among them, the funeral was considered the courtesy for the deceased and the basics of familial devotion for the good fortune of oneself and his descendants. As a funeral involved many steps, it required various funeral supplies and the most important supply was the bier to transport the deceased to the burial site. As funeral rites were complicated and took a long time, there were various supplies used. The bier, which was used to transport the deceased to the burial site, had a very important value. The outside of bier took the form of a house and ornamented with various characters, animals, and plants. With the attachments such as Bangsangsi Mask and a shovel, the performers expressed their wish for the deceased to take a safe trip to the afterlife.

목차

Ⅰ. 서 론
Ⅱ. 상례의 의미
Ⅲ. 상여의 특징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병화(Yun Byung-hwa),양애란(Yang Ae-ran). (2016).조선시대 상례와 상여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31 , 1-20

MLA

윤병화(Yun Byung-hwa),양애란(Yang Ae-ran). "조선시대 상례와 상여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31.(2016):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