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스무라야스조(増村保造) 영화의‘신체’라는문제계 : 영화<문신(刺青)>론

이용수 87

영문명
The Problematic Representations of Body in Yasuzo Masumura’s Movie ‘IREZUMI(Tattoo)’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정창훈(Jeong, Chang-hoon)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26輯, 113~15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7.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마스무라야스조의 <문신(刺青)>(1966)을 중심으로, 1960년대 일본영화에서 마스무라영화의 신체표상이 지니는차별점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당대 일본영화는 정치적인 좌우를 초월하여‘60년대적인’ 반항 및 저항의 감성을 공유하는 한편으로, 여배우의 신체를 스크린 위에 전시하기 시작했다. 전후 영화들은 여성의 신체를 통해 자유, 해방 저항, 일탈 등의 가치들을 표현하고 자했던 것이다. 특히 1960년대 중후반 이후의‘에로티시즘붐과 더불어, 여성의 신체를 순종과 인내라는 도덕적 가치로부터 적극적으로 탈피시키며, 나체의‘불온한’정치미학이 개진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화될 수 있는것은, 그처럼 영상화된 여성의 신체가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이, 곧 여성을 정치적인 주체로서 주체화하는 것과는 무관하다는 사실이다. 여성의 신체는, 남성을 정치적인주체, 혹은정열적인주체로서호명하기위해, 그들을유혹하고도발하며, 끝내는 그들에게 저항적인 힘의 전권을 위임했다. 즉 여성의 신체는 남성 주체들의‘자유와‘해방에 대한의지를 환기하거나 표현하기 위해 이미지화 되었다. 마스무라 역시 그에서 아주 예외적인인 물이라고는 볼 수 없다. 영화<문신>도 여성인물의 신체를 하나의 오브제로서 전시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타자화의 시선을 내포하고있다. 게다가‘카르멘과 흡사한 인물설정은 여성을 히스테릭한 존재로서 비춰지게끔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영화의 영상은 그처럼고착화된 여성성에 대한 무의식적 수용과 소비를 방해함으로써, 마스무라 고유의 정치미학을 발현한다. 그것은 여성인물에 대한 편견적인 시선을 위협하고, 나아가서는 그 시선에 대한 파멸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지닌다. 여기서 핵심이 되는 것이‘조로구모(女郎蜘蛛)이다. 여주인공의 등에 새겨진 문신인 그것은, 시선의 주체(관객)에게 누드로부터 환기되는 에로틱한 쾌락을 불허하며 타자화(의미화)의 시선에 저항한다. 당대의 여타 영화들과는 달리, 마스무라의 영화는, 폭력적이며 의욕적인 남성상이 아닌, 격정적이며 원초적인 여성상을 그리는데 주력했다. 즉 국가, 공동체, 남성의 이상,야망, 이념 등을 위해 자신의 개성을 축소하거나 제한해왔던것이 국민, 개인, 여성의 모습이라면, 진정한 저항이란관념적인 토대로부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우발적인 힘을 통해 이뤄진다는것을 마스무라의 영화는 시사한다. 따라서 이정열적인 여성상은‘남성=이성적 문화적존재’,‘여성=본능적 자연적 존재라는 기성의 젠더 도식을 답습한다는점에서 그 한계를 노정하지만, 한편 으로는‘60년대적 감성’이라는 수사로 일괄될 수 없는 마스무라 영화만의 정치미학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distinction of corporeal representation in Masumura Yasuzo’s movies, especially focusing on “IREZUMI(Tattoo)” that was filmed in 1966. The contemporary Japanese movies of the 1960s shared “the sensibility of rebellion and resistance” in common, regardless of their political stances, and also began to exhibit the body of the actress on the screen. That is to say, the postwar movies tried to describe values such as freedom, liberation, and resistance through the female body. This naked woman’s body, representing the deviation from old moral standards, obedience and patience, practiced political esthetics of ‘rebelliousness’ in the boom of erotic movies particularly in the mid to late 1960s. However, it also would be problematic that visualization of woman’s body which connotes political meaning is not related to subjectification of women as the main agents of political practice. Still, the woman’s body seduced and provoked the male subject only to call him the main agent of political practice or passionate actor, and eventually gave all authority of resistive power to him. Therefore, the woman’s body was imaged to express or evoke liberation and freedom of men. Masumura is not an exception. “IREZUMI” also has the viewpoint of otherization as it exhibited woman’s body as an object. In addition, its Carmen-like character makes the woman seemingly hysterical. However, the film's image reflects Masmura’s own political esthetics, disturbing unconscious acceptance and consumption toward fixed womanhood. It is different from others because the image threatens the eyes of prejudice against women and leads them to destruction. Here, the key of the movie is Zorogumo tattoo(meaning Spider Woman), on the heroine’s back, which disallows erotic pleasure of peeking to the audiences, and resists to the otherization(signification). Unlike other contemporary movies of the 1960s, Masumura’s movie tried to realize passionate and instinctive woman-image, not violent and enthusiastic man-image. He thought woman has reduced or limited her individualities for the ideal, ambition, and ideology of country, community, men. In movie, woman represent individuality of body, and man represent totality of social conception. So, the movie “IREZUMI(Tattoo)” show that genuine resistance is generated only from accidental power of body, not from the ideological ground. Though this passionate woman-image reveals its own limit insofar as it follows the old accomplished scheme, ‘man=rational, cultural being, woman= instinctive, natural being’, nevertheless, it shows Masmura’s own political aesthetic, which cannot be defined as a ‘1960s sensibility’.

목차

Ⅰ. 정치적정열과나체의표상
Ⅱ. ‘SHISEI’에서‘IREZUMI’로의내러티브변주
Ⅲ. ‘조로구모(女郎蜘蛛)’의영상미학: 응시되는여체(女体)의‘표정’
Ⅳ. ‘시체(屍体)’, 혹은‘피의결말’이말하는것
Ⅴ. 결론: 마스무라의‘탈시대적’ 고찰과‘시대적’ 한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창훈(Jeong, Chang-hoon). (2016).마스무라야스조(増村保造) 영화의‘신체’라는문제계 : 영화<문신(刺青)>론. 일본연구, 26 , 113-150

MLA

정창훈(Jeong, Chang-hoon). "마스무라야스조(増村保造) 영화의‘신체’라는문제계 : 영화<문신(刺青)>론." 일본연구, 26.(2016): 11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