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군 조직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

이용수 369

영문명
Determinants of Job Insecurity in Navy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안병주(Byung Joo Ahn)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직무불안정성(job insecurity)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를 대한민국 해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일반기업에서도 직무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관련연구들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선행요인보다는 결과요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와 정부조직이나 공공조직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정년이 보장되어 있는 정부조직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직무불안정성인식이 주목받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성은 공·사를 막론하고 조직의 효과성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따라서 직무불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공공조직, 군 조직 등 다양한 대상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군인은 안정적인 직업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강하지만 일반기업 못지않게 현재 군 조직에서 직무불안정성은 실제적인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고용형태와 계급에 따른 정년의 차이가 크고 근무평정 결과에 따라서 직장을 잃을 수도 있는 근무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군 조직에서의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가 매우 희소한 상태에서 정부기관 조직구성원의 인사혁신을 추진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관련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해군의 장교와 부사관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 1,133부를 분석한 결과 계급정년, 계급, 학력, 연령, 근무희망기간, 근무한기간, 진급심사까지 남은기간, 근무지의 8개 요인들이 선행요인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고용형태와 신분에 따라서도 그 영향력이 달랐으며 비정규직의 직무불안정성 수준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의 경영에서 조직차원의 직무불안정성관리와 정규직 고용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인적자원관리의 전반적인 전략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식되어왔던 군 조직을 대상으로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을 살펴본 것은 직무불안정성관련 연구의 대상 조직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정부조직에 속하는 군 조직에서도 일반기업과 같이 직무불안정성이 존재하며 정규직・비정규직의 고용형태와 장교・부사관의 신분에 따라 직무불안정성수준 및 선행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job insecurity using firms, public companies, hotels etc in ROK(republic of Korea). But, the research on military has been rare, especially the area focusing on job insecurity.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republic of Korea Navy survey data(1,133), producing follow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eight factors of retirement age of class, class, level of education, age, hope to work period, period worked, remainder to be promoted screening, workplace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determinants. Therefore, its effect is also different.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form and class(officer / petty officer). Temporary worker's job insecurity levels were very high.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have to manage job insecurity and employment form in ROK Navy. Especially job insecurity that has been previously actively studied and researched on ordinary firms are applied, extended to military one of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is meaningful, because experiential research of job insecurity and on military has very rare in ROK.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설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병주(Byung Joo Ahn). (2016).군 조직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6 (1), 1-24

MLA

안병주(Byung Joo Ahn). "군 조직 직무불안정성의 선행요인."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2016.1(2016):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