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간 게임에서 적을 식별하기 위한 스카이라인 기반의 탐색 기법
이용수 9
- 영문명
- Skyline-based Search Scheme for Identifying Enemies in Spatial Game
-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게임학회
- 저자명
- 김성완(Sung Wan Kim) 조양현(Yang Hyun Cho) 김종완(Jong 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제25권 4호, 227~23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위치정보를 이용한 공간 게임에서 상대방의 위치와 위험도(power)를 기준으로 상대 게이머를 피해가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공간 게임에서 스카이라인을 이용하여 상대 게이머의 위치와 위험도를 파악함으로써 가장 가까우면서 위험한 게이머를 식별한다. 이는 공간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 기법은 공간객체와의 거리만을 대상으로 하여 가까운 게이머를 판단하였으나 제안 기법은 다중속성인 거리와 위험도를 동시에 파악함으로써 공간 게임의 승패에 영향을 미친다. 제안기법의 시뮬레이션에서는 거리를 기준으로 한 게임 객체와 스카이라인으로 탐색한 게임 객체들의 평균위험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에서 제안기법인 SSG(Skyline query for Spatial Game)가 더 낮은 평균위험도의 객체들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a gammer avoids opponent gamers by their location and power in spatial game. The proposed scheme identifies risky opponents by checking the positions and risk ratios. This is an important point to win in spatial game. The conventional schemes only check the distance between gamers. However the proposed scheme checks multi criteria such as distance and risk ratio and it influences the outcome of the game. In the simulation of the proposed scheme, we measure the average risk ratio between the game objects retrieved by distance-based scheme and the game objects by the proposed one. In the result, the proposed scheme, SSG(Skyline query for Spatial Game) shows that SSG searches the game objects with the lower risk ratio.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스카이라인과 최근접 이웃 탐색기법
Ⅲ. 스카이라인 기반의 공간 게임 객체 탐색 기법
Ⅳ. 게임 객체 탐색 시뮬레이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전자교과서를 제어하기 위한 손 제스처 인터페이스
- 동. 서양 사상과 문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특징 분석
- 뇌파의 집중도와 명상도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게임 구현
- 생태계 관점에서의 게임콘텐츠 산업구성 및 구조분석
- 사용자 채팅에 기반한 MMORPG 아이템 가격결정시스템 연구
-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기능성 게임 개발
-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 제작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부분 유료화 모델 연구
- SOL을 이용한 개선된 스마트폰 게임의 인증 보안 알고리즘의 설계
- 공간 분석 기반 텍스쳐 투영으로 구성된 놀이 공간
- 발달장애인을 위한 문제해결 중심의 기능성 모바일 앱 게임모델연구
- 게임 환경의 건축물 배경 맵 모델 연구
- 공간 게임에서 적을 식별하기 위한 스카이라인 기반의 탐색 기법
-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지적 장애인 직무 훈련: 직업 기능 교과서의 게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대형 퍼블릭 게임 고찰
-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가사공간과 실제공간의 결합 로봇 게임 시스템 개발
- RPG 어드벤쳐 게임요소를 적용한 융합체험전시 기획연구
- PTAM을 이용한 3차원 공간 구성 및 게임 응용
- Gamification Movement : 'Gamification@'
- 예술 효과를 적용한 스테레오스코픽 게임 렌더링
- 편마비 환자를 위한 스마트폰 문자입력 인터페이스 및 재활 훈련 콘텐츠 개발
- 게임화(Gamification)을 이용한 대안적 학습 모형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교육용게임의 몰입요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 기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지역화 플랫폼 구축에 대한 연구
- 모바일게임의 인기 요인화
- 게임을 위한 화염의 비사실적 렌더링 기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