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세속 사회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위기 :

이용수 375

영문명
The Crisis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Post- Secular Society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오세일 신부(Fr.Seil Oh)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76, 83~11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천주교회는 ‘위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본 논문은 종교사회학의 ‘세속화 이론’, 하버마스의 ‘정당성 위기’와 ‘포스트세속이론’,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종 프란치스코의 관점에서 본 신학적 성찰을 통해서 이 질문에 대해 응답하고자 한다. 먼저, 서구 사회에서 교회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정당성 위기를 반영하고 있는 ‘세속화 이론’은, ‘제도적 분화’, 종교의 ‘우주적, 상징적 의미의 타당성 약화’, 그리고 ‘개인의 삶의 자리에서 종교의 연관성 약화(사사화)’ 현상으로 집약된다. 이는 또한 ‘교회 권위의 약화’현상을 동반하는데, 특별히 미국과 서유럽 천주교회가 겪어온 교회위기는 사제 개인의 도덕성 문제, 교회 조직의 책무성 문제, 대사회적 신뢰 상실로 인해 교회 권위의 추락으로 직결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은 세속적인 영역과 종교적인 영역이 경쟁, 갈등을 겪고 있는 ‘포스트-세속’ 사회의 맥락에서 인식하는 것이 유용하다. 무엇보다 테일러가 제기하는 ‘내재적 프레임’ 안에서 궁극적인 삶의 의미와 행복을 증거하는 것은 교회가 직명한 최우선 과제다. 한국 천주교회의 정당성 위기의 징후들은 제도교회와 성직주의 차원에서 대별해 볼 수 있다. 제도교회는 가톨릭사회론의 정신을 구현하지 못하고, 세상적인 업적, 성과, 과시를 중시하는 ‘영적 세속주의’ 현상이 문제로 부각된다. 또한 제도교회의 구시대적인 관료제 관행은, 정보와 네트워크 사회에서 탈권위, 수평적 소통을 중시하는 현대인들의 가치와 열망을 반영하기 어렵다. 성직주의의 문제는 교회지도자의 인간적 미성숙, 진정성과 영적 감수성이 부족한 사제직, 성불평등을 심화하는 교회의 가부장제적 문화, 성직자/수도자들 간에 돌보고 협력하는 공동체/네트워크의 부재 등과 연결된다. 한국 천주교회의 위기의 징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다중적인 회심을 제안한다. 먼저 교회 지도자들(주교, 사제, 수도자, 평신도)은 상실성과 진정성을 바탕으로 ‘내적 권위’를 스스로 회복해야 한다. 교회 직분으로 통용되던 외적 권위만으로는 미흡하다. 둘째, 공동체/조직 차원에서 ‘권한 이행의 동반 관계’를 통해서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구현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예언자적 삶을 증거하기 위해서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전환하는 임계성의 관점이 요청된다. 끝으로 새로운 차원의 복음적 삶을 중거하기 위해서는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을 따라서 - 하느님의 손길 안에 온전히 봉헌하며 ‘성령’께 주도권을 내어 맡기는 회삼과 순례의 길을 걸어가야 한다.

영문 초록

What can the Korean Catholic Church say about the ‘Church crisis’?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is question by reconsidering secular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borrowing Habermas’ concepts of legitimacy crisis and post-secular society and reflecting on theological issues in the ligh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First, the sociological theory of secularization, reflecting on the Church’s legitimacy and crisis in Western European societies, constitutes institutional differentiation, cosmic-symbolic invalidity of religion, and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as the relevance of religion has weakened for modern individuals’ life-worlds. It is consequently related to ‘declining religious authority’. In particular, the Church crisis in Europe and the U.S. includes individual priests’ immorality (i.e., pedophilia), a lack of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and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on the part of the Church, and social distrust of the Church. However, the Church crisis as social phenomena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post-secular social context in which religion has not lost its power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religious and the secular are in conflict. The primary task of the Church is to bear witness to the ‘fullness of life’ or ‘happiness’ in the immanent frame. Symptoms of the legitimacy crisi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can be found in both institutional churches and clericalism. On the one hand, some institutional churches reveal CEO styles of secular triumphalism based on ‘spiritual worldliness’. The bureaucratic governance of the Church appears to be of the ancien régime, not of the current society of information and networks in which people aspire toward de-authoritarian, horizontal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of clericalism include the human immaturity of church leadership, the lack of authenticity and spiritual sensibilities in priesthood, the patriarchal culture of gender inequality, and the lack of collaborative, caring communities/networks among clergy and the religious. This article suggests multi-dimensional conversion as pastoral alternatives in response to the problem of the Church crisis. Church leaders (bishops, priests, religious, and lay) need to recover ‘inner authority’ through sincerity and authenticity at an individual level. ‘Companionship of empowerment’ as an antidote to clericalism can help the Church to bear witness to the Heavenly Kingdom at a communal/organizational level. Prophetic commitment requires liminality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t a social level.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the Church needs to put its initiatives into the hands of God following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Why Crisis? – The Problems of Legitimacy
Ⅲ. Symptoms of Legitimacy Crises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Ⅳ. Pastoral Alternatives : Multi-dimensional Conversion
Ⅴ.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ct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세일 신부(Fr.Seil Oh). (2015).포스트-세속 사회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위기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6), 83-117

MLA

오세일 신부(Fr.Seil Oh). "포스트-세속 사회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의 위기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6(2015): 83-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