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에 나타난 ‘동일본질’과 ‘동일흠숭’(ὁμοτιμία) 개념에 대해서

이용수 189

영문명
The Concept of the Consubstantialitas and Homotimia(ὁμοτιμία) in the Nicene -Constantinopolitan Creed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정승익(Jung Seng ik)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8호, 129~172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신경의 그 어디에도, ‘성령은 하느님’이라는 직접적인 표현이 없다. 반면 니케아 신경에는, 성자의 신성(deitas)에 대해서는 명쾌하게 ‘동일본질’(o`moou,sioj tw/| patri,)이라고 표현하지만,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에는 성령에 대해 그러한 표현이 사용되지 않았다. 어째서일까? 그것은 ouvsi,a란 용어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혼란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성령의 신성을 논증했던 바실리우스의 성찰 때문이었다. 즉, 신경의 ‘(성령은) 성부와 성자와 같은 흠숭과 영광을 받았다’(to. su.n patri. kai. ui`w/| sumproskunou,menon kai. sundoxazo,menon)라는 구절 은, 결국 성령도 (성자 하느님과 마찬가지로) ‘성부 하느님과 같은 하느님이시다’(성부=성자=성령)라는 신앙고백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똑같은 대접(흠숭 · 영광)을 받았다는 것은, 동일한 등급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하며, 결국 이것은 동일한 본질을 지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바실리우스에게 있어 ‘실체’ 개념은, 개별 실체(제1실체)와 보편실체(제2실체)로 구분되어 삼위일체론에 적용된다. 즉, 니케아 신경에서의 ‘동일본질’이라는 표현이 지칭하는 ‘본질’(혹은 실체, ouvsi,a)은 삼위일체 하느님의 ‘본성’(natura), 즉 ‘신성’을 지칭하는 ‘보편 실체’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아나타시우스가 주장하는 바대로 ‘성자 도 성부와 동일본질’이시고, 당연히 ‘성령도 성부와 성자와 동일한 하느님’으로서 동일한 ‘실체’(ouvsi,a)를 갖는다고 생각했다. 반면,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동일한 실체(ouvsi,a)를 갖는 한 분의 하느님이 시지만(성부=성자=성령), 동시에 각각의 서로 다른 고유성을 갖는데(성부≠성자≠성령), 바로 서로 다른 고유한 개별 실체들은 (하나로 동일하지 않고) 셋으로 존재한다. 바실리우스는 이렇게 셋으로서로 구별되는 개별 실체들을 ‘위격’(u`po,stasij)이라고 불렀다. 따라서 삼위일체 하느님이란, ‘하나의 (보편) 실체(ouvsi,a), 세 위격 (u`po,stasij)의 하느님(mi,a ouvsi,a trei/j u`posta,seij)’이라고 요약하였다. 특히 바실리우스의 ‘동일흠숭’에 대한 성찰은, 삼위일체 하느님께 바치던 영광송에서도 드러난다. 성인이 사용하였던 영광송은 두 가지다: ① ‘(영광이) 성자를 통하여 성령 안에서 성부께!’[tw/| Qew/| kai. Patri,( […] nu/n de. dia. tou/ Ui`ou/ evn tw|/ a`gi,w| Pneu,mati]라는 전통적인 것과, ② ‘(영광이) 성자와 함께 (그리고) 성령과 함께 성부께!’(tw/| Qew/| kai. Patri,( nu/n me.n meta. tou/ Ui`ou/ su.n tw|/ Pneu,mati tw/| a`gi,w)라는 (바실리우스에 의해) 조금은 변형된 듯 보이는 양식이다. 그런데 당시 사람들은, 두 번째 영광송은 어색하고 심지어 전통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성인은 그의 작품 󰡔성령론󰡕에서 이에 대한 설명을 다루었다. 그는 첫 번째 영광 송의 (전통적인 신학적 성찰이 담겨 있는) 전치사들(di,a( evn)을, 두 번째 영광송에서는 다른 전치사 ‘su,n’(혹은 meta. ~과 함께)으로 바꾸어 놓았는데, 이렇게 하는 편이 성령도 성부와 성자와 함께(su,n) ‘동일흠숭’을 받는다는 신학적 성찰을 보다 효율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이었으며, 이는 결국 성령도 성부와 성자와 함께 모두 ‘동일본질’임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고백이었다.

영문 초록

In the Nicene-Constantinoplitan Creed, there is not any words spoken in the direct way that the Holy Spirit is God. Meanwhile the expression of ‘same substance as the Father’(o`moou,sioj tw/| patri,) is used for the Godness( deitas) of the Son but it is not used for the Holy Spirit. What is the reason? It was thanks to St. Basil’s pneumatology using the indirect method and avoiding the big chaos caused by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substance’( or essence ouvsi,a). The phrase in the Creed, ‘(The Holy Spirit) received the same glory and adoration with the Father and the Son’(to. su.n patri. kai. ui`w/| sumproskunou,menon kai. sundoxazo,menon), means that the Holy Spirit is ‘God just like the Father and the Son’(Father=Son=Holy Spirit) in the indirect way. In other words, getting the same glory and adoration indicates having the same level of the position, and signifies having the same substance. According to St. Basil, the concept of the ‘substance’(ouvsi,a) is differentiated in two meanings for his trinitarian theology: the primary substance (prw,th ouvsi,a) and the secondary substance(deute,ra ouvsi,a). He under-stood that ‘substance’(ouvsi,a) of ‘the same substance as the Father’ (o`moou,sioj tw/| patri,) in the Creed indicates ‘the nature’ of God (that is ‘Deitas’ as the secondary substance). Therefore, he didn’t have any problems to accept the theory of St. Athanasius that the Son has the same substance as the Father(o`moou,sioj tw/| patri,) and that the Holy Spirit also has the same substance as the Father and the Son. The Trinity is one God who has same substance(Father=Son=Holy Spirit), but the three persons have the different properties at the same time(Father≠Son≠Holy Spirit) because the each three persons has the different ‘individual substances’. St. Basil call the ‘individual substance’ of one God the ‘person’(u`po,stasij), and so the Trinity has ‘one substance’(ouvsi,a) and ‘three persons’(u`po,stasij): mi,a ouvsi,a trei/j u`posta,seij. Especially, St. Basil’s theology about ‘the same adoration’(o`motimi,a) is found in the doxologies dedicated to the Trinity. The saint used two forms: ① ‘the glory to the Father through the Son in the Holy Spirit!’[tw/| Qew/| kai. Patri,( […] nu/n de. dia. tou/ Ui`ou/ evn tw|/ a`gi,w| Pneu,mati] as a very traditional form, ② ‘the glory to the Father with the Son (and) with the Holy Spirit!’(tw/| Qew/| kai. Patri,( nu/n me.n meta. tou/ Ui`ou/ su.n tw|/ Pneu,mati tw/| a`gi,w) as an unusual form as if it is transformed by him. Many peoples considered that the second form was against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the saint treated the reason of using the second one in De Spiritu Sancto: he changed the prepositions(di,a( evn) of the first doxology that contain traditional theology to the prepositions su,n(or meta. with) of the second doxology, because su,n (with) is more useful to underline the meaning of ‘the same adoration’(o`motimi,a) with the Father and the Son, and because it is the indirect confession that the Holy Spirit has ‘the same substance’( o`moou,sioj tw/| patri,) as the other persons.

목차

들어가는 말
1. 논쟁의 시작
1) ‘(성자는) 성부와 한 본체’(o`moou,sioj tw/| patri)
2) 두 가지 철학적 사고의 틀 → 다양한 신학적 해석의 가능성
2. ouvsi,a에 대한 알렉산드리아와 안티오키아 학파의 해석 차이
1) ‘실체’(ouvsi,a) 개념에 대하여
2) o`moou,sioj tw|/ patri,에 대한 두 학파의 견해 차이
3. 니케아 공의회 이후의 대혼란: 다섯 분파에 대해
1) 단원론(Monarchianism)
2) 동일본질파(o`moou,sioj)
3) 유사본질파(o`moioj katV ouvsian, Homoeousiani)
4) 유사파(o`moioj kata. gra,faj)
5) 비유사파(avno,moij, Anomei)
4. 바실리우스, ‘동일흠숭’(o`motimi,a)
1) 성령에 대한 이단들의 등장
2) 바실리우스의 성령론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승익(Jung Seng ik). (2011).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에 나타난 ‘동일본질’과 ‘동일흠숭’(ὁμοτιμία) 개념에 대해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8), 129-172

MLA

정승익(Jung Seng ik).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에 나타난 ‘동일본질’과 ‘동일흠숭’(ὁμοτιμία) 개념에 대해서."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8(2011): 12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