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새로운 신앙 언어 창출을 위한 ‘문화와 신앙’에 대한 고찰

이용수 68

영문명
À la recherche des nouveaux langages de la foi dans la complexité culturelle et religieuse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Kim Mi jeung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6호, 230~26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급속하게 변화하는 현대 문화, 그리고 그리스도교 정체성 부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전통적 신앙 언어, 이 둘 차이의 골이 심화되면서, 어떠한 언어로 현대인들에게 신앙의 핵심을 전달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는 현대 교회의 중요한 신학적, 사목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새로운 문화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 그리고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다양한 문화권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신앙의 언어로 접근해야 하고, 어떻게 그들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 신앙 언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가?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5단계의 신학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첫 단계는 ‘그리스도와 문화’의 관계를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니버(R. Niebuhr)의 견해를 바탕으로, 결국 ‘문화와 신앙’의 관계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을 말씀의 육화/토착화(incarnation/inculturation) 패러다임을 통해 보았다. 그리스도교 신학의 근본이자 핵심이 되는 이 ‘신앙과 문화’의 상호 관계는 그리스도교의 역사 속에서 그리 용이하게 반영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오늘의 현실에서 어떻게 이 관계가 이루어지는지를 보기 위해서 세계 교회를 5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세속화 현상 속의 서구 교회; 공산 치하 박해의 잔재 속의 동부 유럽 교회; 이슬람 문화권의 매우 어려운 상황 속에 놓인 중동 교회; 가톨릭 신자들의 개신교회로의 이주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남미 교회; 아직 토착화 초기에 있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교회. 이 모든 교회들의 현실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것은, 결국 교회는 인류의 역사 가운데 있는 ‘세상 속의 교회’로서 끊임없이 문화 문제를 고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언어 창출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교회 전통과의 문제이기 때문에, 3번째 단계에서 ‘전통이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전통이란 신앙의 핵심이 되는 케리그마(kerygma)의 내용과 전달하는 행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통이라는 말에 ‘넘기다’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신앙의 핵심을 전달하는(넘기는) 행위 가운데는 신앙의 핵심을 해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고, 이는 결국 신앙 언어의 변화를 동반하게 된다. 따라서 전통 그 자체가 새로운 언어 창출을 전제로 하며, 그 어떤 반복적으로 암기해야 하는 것이 아닌, 신앙 핵심의 의미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4번째 단계에서는 틸리히(P. Tillich)의 ‘문화 신학’을 살펴보았다. 틸리히는 종교의 개념을 두가지로 구분하면서 결국 넓은 의미의 종교는 문화의 가장 핵심이 되는 본질로서, 모든 형태의 문화가 이 궁극적인 본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신학자의 역할로 보았다. 이 4단계에서 얻어진 신학적 견지를 바탕으로 마지막 단계에서는 어떻게 새로운 신앙 언어를 창출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리쾨르(P. Ricoeur)의 입문적 과정(parcours initiatique)을 바탕으로 전개하였다. 예수의 제자들이 예수와 함께하면서 그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이를 자신들의 언어로 복음서에서 고백하였듯이, 교회는 이미 형성이 된 언어를 반복하기 보다는 신자들 스스로 예수와의 개인적, 공동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문화 언어로 표현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지니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회의 가르침은 운하의 역할을 하면서 미숙한 언어로 표현된 신자들의 체험을 넓은 범주에서 다듬고 자르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지방, 남미, 서구 등 모든 현대사회 문화권 속에서, 그 문화권에 적절한 언어로 신앙이 표현되고 이로써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가 교회 안에 이루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Etant donne que la recherche des nouveaux langages de la foi dans un monde en mutation constante et rapide devient un sujet theologique preoccupant, j’ai procede en cinq etapes afin de mieux envisager ce defi. La premiere partie presente le rapport ‘foi et culture’ dans le christianisme fonde sur le rapport archetype ‘l’incarnation et l’inculturation’ dans le Verbe de Dieu. On ne peut le reduire a celui de ‘noyau et enveloppe’, car il existe entre foi et culture une fecondation reciproque. Puis, j’examine comment concretement ce rapport est vecu a travers cinq regions du monde qui representent les differentes situations historiques et circonstancielles. Cette analyse nous fait voir la diversite des situations et des defis, et en meme temps, la non evidence de la concretisation du constat de la premiere etape. Traiter des cinq regions dans un article risque d’etre trop succinct, cependant, parce que Dieu se revele aux uns et aux autres, aux uns par les autres, la necessite de s’efforcer a dechiffrer les signes de Dieu et de chercher a correspondre ensemble a son appel pour aujourd’hui me semble d’autant plus importante dans notre contexte mondialise. A partir de ces donnees factuelles et empiriques, et pour defricher le chemin d’une elaboration des nouveaux langages de la foi, je consacre la troisieme partie a eclaircir le rapport a la tradition, un sujet epineux des que l’on aborde la question “foi et culture”. C’est finalement la tradition elle?meme, qui est une transmission du sens, qui nous permet de nouvelles interpretations en faisant un ‘va et vient’ continuel entre la situation et la tradition. Dans la quatrieme partie, je presente la theologie de la culture de P. Tillich, qui nous offrira une approche convaincante pour notre recherche et qui nous permettra a la fois d’entrer en correlation profonde avec la culture, et a la culture de recevoir sa substance meme. En dernier lieu, pour concretiser nos donnees acquises dans les situations culturelles diverses, j’ai propose, a la place des discours qui s’imposent, un parcours initiatique qui permet une reappropriation de l’histoire de Jesus et des expressions appropriees avec les images et des expressions de chaque contexte socioculturel. Ainsi, au coeur de la culture subjective, democratique, scientifique, informatique, et aussi au coeur de la culture arabe, africaine et asiatique, la foi en Christ peut etre vecue et exprimee a travers ces cultures par les porteurs de celles?ci.

목차

Introduction
1. Rapport “foi et culture”
2. Paysage panoramique de la situation ecclesiale
3. Tradition de l’Eglise et relativite du christianisme
4. Christianisme sans foyer
5. A la recherche de nouveaux langages de la foi
Conclusion
Bibliographie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Kim Mi jeung. (2010).새로운 신앙 언어 창출을 위한 ‘문화와 신앙’에 대한 고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6), 230-260

MLA

Kim Mi jeung. "새로운 신앙 언어 창출을 위한 ‘문화와 신앙’에 대한 고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6(2010): 230-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