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敍述方式으로 본 論語 <八佾>篇의 구성과 주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0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the subject of the chapter in Analects of Confuciu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송병렬(Song, Pyung-Nyul)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6輯, 327~3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논어 <팔일>편의 구성과 주제를 밝힌 것이다. 朱子는 <八佾>편의 주제를 ‘예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팔일>편을 분석하고 정한 것이 아니라, 인상비평으로 정한 것이다. 본고는 <팔일>편의 구성을 모두 8개 단락(군)으로 보았다. 단락 분석 방법은 사토 이치로(佐藤一郞)가 창안했으며 김윤조가 채택해서 쓴 방식이다. 단락 분석은 하나 이상의 장을 동일 내용, 주제로 묶어서 하나의 단락으로 보는 방식이다. 첫 번째 단락은 1~3장으로 내용은 ‘비례악은 불인함에서 발생한 것이다.’는 것을 밝혔다. 두 번째 단락은 4~6장으로 내용은 ‘예악은 사치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밝혔다. 세 번째 단락은 7~8장으로 내용은 ‘예 악은 사양하고 자신을 남보다 뒤에 두는 것이다.’는 것을 밝혔다. 네 번째 단락은 9~14장으로 내용은 ‘공자는 예의 본질을 추구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 번째 단락은 ‘공자는 예의 본질은 중도를 지켜야 한다고 정의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여섯 번째 단락은 ‘세월이 지나면서 非禮가 禮인 것처럼 잘 못 인식되게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일곱 번째 단락은 ‘예의 본질이 잘 못된 방향으로 흘러버린 것은 有司들이 예의 본질을 잃었기 때문이다.’는 것을 밝혔다. 여덟 번째 단락은 ‘설혹 높은 자리에 있다 하더라도 不仁하게 되 어 올바른 예악의 본질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끝으로 <팔일>편의 편명은 ‘팔일’이 비례악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편제를 위해서 <팔일>편 첫 장으로 삼았음을 밝혔다. 또한 제목을 ‘비례악’으로 하지 않고 ‘팔일’로 정한 것은 공자의 문인제자들이 공자에게서 이어받은 ‘술이부작’의 태도 때문인 것도 밝혔다. 이상과 같은 논어 <八佾>편에 대한 연구 결과는 <八佾>편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논어 를 새롭게 이해하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make the structure and the subject of the chapter in Analects of Confucius clear. Zhu zi(朱子) titled the subject of the chapter as ‘Ye-ak(禮樂)’. However, this judgement was not decided after he had analysed the chapter, but chosen by using impressionistic criticism. This paper considered the structure of the chapter as a group of 8 paragraphs. This way of analysis on paragraph group was created by Sato Ichiro, and selected and used by Yoonjo Kim. It is a way that considering one more chapter as a paragraph, by binding them with a content, or a subject. The first group, from chpater 1 to chapter 3, says ‘non-Ye-ak is originated from not being patient’. The second group, from chapter 4 to chapter 6, says ‘Ye-ak is not pursueing a luxury’. The third group, from chpater 7 to chapter 8, says ‘Ye-ak is to refuse and to put yourself behind others’. The fourth group, from chapter 9 to chapter 14, says ‘Confucius pursues the nature of propriety’. The fifth group says ‘Confucius justified that the nature of propriety should keep the middle'road’. The sixth group says ‘As time goes by, non-propriety was wrongly acknowledged as if it is propriety’. The seventh group says ‘The reason why the nature of propriety went wrong is because office rulers lost it’. The eighth group says ‘Although you are in a high position, you should not lose the nature of the right Ye-ak, not being patient’. Lastly, from the title of the chapter , it became the first chpater of it, because the name 'Palil' has a meaning of non-Yeak. And also, the reason why they chose the title not as ‘non-Ye-ak’ but is because of the attitude that ‘I did not create it, but wrote it’, which the literati pupils of Confucius followed from Confucius. This result of the study on the chapter in Analects of Confucius will help to understand it, furthermore, it will be able to suggest a new direction to understand Analects of Confucius

목차

1. 序論
2. <八佾>편의 구성과 주제
3. 結論 -<八佾>편 표제의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병렬(Song, Pyung-Nyul). (2016).敍述方式으로 본 論語 <八佾>篇의 구성과 주제에 관한 연구. 대동한문학, 46 , 327-356

MLA

송병렬(Song, Pyung-Nyul). "敍述方式으로 본 論語 <八佾>篇의 구성과 주제에 관한 연구." 대동한문학, 46.(2016): 327-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