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 日本人의 朝鮮定着과 社會文化的 적응 양상

이용수 389

영문명
The Aspect of Settlement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a Japanese Man : Focusing on surrendered Japanese invader Sayaka (Kim, Choong Sun, 1571∼1642) family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학수(Kim, Hak-Su)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46輯, 139~194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임진왜란 때 조선에 참전했다가 투항한 沙也可(金忠善)와 그 자손들의 삶을 다룬 것이다. 임란 당시 向化 倭人에 대한 연구는 적지 않게 이루어졌지만 그들의 조선 정착과 사회문화적 적응의 과정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적었다. 沙也可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그가 지니고 있었던 왜군에서의 지위와 향화의 동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결과였고, 여기에 官撰 또는 私撰의 기록에 남겨진 그들의 풍부한 삶의 자취는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강렬한 흥미를 유발시켰다. 역사는 변화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어떤 왜인이 어느 규모로 投降 또는 向化했는지도 중요하지만 투항・향화 이후 그들의 사회문화적 적응 양상, 삶의 모습이 어떠했는지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야말로 맥락을 지닌 역사 연구의 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이 글에서 논자가 강조하고자 했던 것은 상호성이다. 즉, 사야가와 그의 자손들은 조선의 사회문화적 풍토에 적응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펼쳤고, 조선사회는 그들의 움직임을 어떻게 바라보고 또 받아들였는가를 해명하는데 논지의 주안점을 두었다. 이것은 조선의 양반사회가 지니는 유연성을 진단하는 작지만 정밀한 가늠자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hesis focuses on the life of Sayaka (also known as Kim Choong Sun) and his offspring. Sayaka fought in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Imjin Waeran) and surrendered to Joseon. In those days of Imjin Waeran,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on Japanese invaders who naturalized in Joseon was taken place. However, the academic circles had less interest on their settlement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This research chose Sayaka as the subject of analysis regarding his status as Japanese commander and his motivation of naturalization. Moreover, his life which is colorfully portrayed in both government and private individual document brought significant attention. History is the study which explains the change. It may be important to know how much Japanese invaders surrendered or naturalized. However, taking interest on their aspect of life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is an important method of historic research in context. This study highlights on reciprocity.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he efforts of Sayaka and his descendants to adapt to the sociocultural climate of Joseon Dynasty and how Joseon accepted and reacted to such efforts. This could be a precise insight in identifying the tolerance of Joseon’s aristocrat society (Yangban).

목차

1. 머리말
2. 沙也可는 어떤 사람인가? :생애와 행적
3. 조선 정착과 慕夏的 삶의 지향
1)友鹿洞 정착과 慕夏堂의 건립
2) 유교적 가치를 추구하는 家庭經營: 家訓의 제정과 적용
3)유교적 共同體意識에 바탕한 마을의 운영: 우록동 條約의 실행
4)유교적 禮制의 적용: 婚書에 나타난 예제의 수용 양상
4. 慕夏的 삶의 계승양상과 金忠善家의 사회적 지위
1)法祖意識과 慕夏的 삶의 계승:손자 金振英을 중심으로
2)金忠善家의 사회적 지위의 추이와 가문현창론
3) 畿湖學風의 수용과 學人의 배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학수(Kim, Hak-Su). (2016).한 日本人의 朝鮮定着과 社會文化的 적응 양상. 대동한문학, 46 , 139-194

MLA

김학수(Kim, Hak-Su). "한 日本人의 朝鮮定着과 社會文化的 적응 양상." 대동한문학, 46.(2016): 139-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