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각막굴절교정렌즈와 산소투과성 하드콘택트렌즈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 비교

이용수 138

영문명
Comparison of Changes in Ocular Surface Status after Wearing Orthokeratologic and Rigid Gas Permeable Len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강원(Kang Won Lee) 정지원(Ji Won Ju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4, 546~554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같은 재질의 각막굴절교정렌즈와 rigid gas permeable (RGP) 렌즈를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를 비교하여 렌즈 종류에 따른 건성안과 마이봄선기능장애 발생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12안과 RGP 렌즈 착용 16안을 대상으로 렌즈 착용 전, 1개월, 3개월 시점에서 안구표면상태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안구표면상태 지표는 안구표면 질환지수(ocular surfacedisease index, OSDI), 기본 눈물 분비,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 up time, TBUT), 안구표면 염색 점수로, 마이봄선기능장애 지표는 마이봄선기능장애 등급, 눈꺼풀테의 이상, 마이봄선의 표출 정도 및 마이봄 분비물 양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각막굴절교정렌즈군의 TBUT, 안구표면염색 점수와 RGP 렌즈군의 OSDI, TBUT, 안구표면 염색 점수는 착용 전, 1개월, 3개월 후 유의하게 악화되었다(p=0.004, p<0.001, p<0.001, p<0.001, p<0.001). 마이봄선기능장애 지표는 착용 전, 1개월, 3개월 후에 모두 각막굴절교정렌즈군(p<0.001, p<0.001, p<0.001, p=0.002)과 RGP 렌즈군에서 악화되었으며(all p<0.001), RGP 렌즈군에서 유의하게 더 악화되었다(p<0.001, p<0.001, p=0.001, p<0.001). 결론: RGP 렌즈 및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시 안구표면 상태에 영향을 주며 RGP 렌즈에서 마이봄선기능장애 및 안구표면상태 지표의 변화가 각막굴절교정렌즈보다 더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dry eye an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by comparing ocular surface status before and after wearing an orthokeratologic (OK) lens and rigid gas permeable (RGP) lens made of the same material. Methods: The ocular surface and meibomian gland statuses of 12 eyes of 12 OK lens wearers (OK lens group) and 16 eyes of 16 RGP wearers (RGP lens group) were evaluated before and 1 and 3 months after lens wearing.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TBUT), Schirmer’s test I,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were evaluated for ocular surface parameters. Meibomian gland function was evaluated by assessing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Results: TBUT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OK lens were significantly aggravated (p = 0.004, p < 0.001). The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aggravated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OK lens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2).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RGP lens, OSDI, TBUT, and ocular surface staining score were aggravated (all p < 0.001). The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aggravated after 1 and 3 months of wearing an RGP lens (all p < 0.001). MGD grade, lid margin abnormality, meibomian gland expressibility, and meibum quality were significantly more aggravated in the RGP lens group than in the OK lens group after 3 months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01). Conclusions: Use of OK and RGP lenses affects ocular surface status. Especially, meibomian gland parameters and OSDI showed greater changes in RGP lens wearers than OK lens wearer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원(Kang Won Lee),정지원(Ji Won Jung). (2016).각막굴절교정렌즈와 산소투과성 하드콘택트렌즈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7 (4), 546-554

MLA

이강원(Kang Won Lee),정지원(Ji Won Jung). "각막굴절교정렌즈와 산소투과성 하드콘택트렌즈 착용 후 안구표면상태 변화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7.4(2016): 546-5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