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書論의 一局面

이용수 180

영문명
The Study on an Aspect of the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ate Joseon Dynasty ―李溆와 李三晩의 서론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 검토를 중심으로―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남형(Kim Nam Hyu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8호, 4~26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대표적 서예비평가의 書論을 검토하고 그 특성과 그것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본고의 텍스트는 조선후기의 서예비평서 가운데 비교적 온전한 내용과 체제를 갖춘 李溆의 『筆訣』과 李三晩의 『蒼巖書訣』이다. 본고에서 논의된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에 이르러 체계적인 서예비평서가 출현하게 된 서예사 및 정신사적 배경은 통일신라시대 이래 중국의 특정 서풍을 무비판적으로 모방하였던 서예사적 질곡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조선이 유교전통문화의 진정한 계승자라는 문화적 자긍심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李溆는 당대의 書風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書의 본질에 대해 깊이 사색하고 書의 성립 근원에서부터 창작의 실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易理를 적용하여 해설하였다. 그러나 이서의 書論은 『주역』과 書를 구조적으로 일원화하여 ‘書法自然’을 표방하면서도 자연과 書 사이에 『주역』이라는 시공을 초월한 典範을 개재시킴으로써 또다른 서예사적 매너리즘을 초래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셋째, 이삼만은 ‘書는 자연에서 비롯되었다’라는 고전적 서예관에 충실하면서, 『주역』이라는 이념적 典範을 개재시키지 않고 ‘卽自然―法自然―象自然’으로 이어지는 일관된 논리를 제시하여 書와 자연과의 긴밀한 관련성을 환기하였다. 이러한 이삼만의 書論은 우리나라의 자연풍토와 민족의 삶에서 형서된 미의식을 서예로 구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고, 그 자신이 작품창작을 통해 이를 실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ate Joseon Dynas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The texts of this paper are Lee Seo s 『Pilkyeol』and Lee Samman s 『Chamamseokyeol 』wich have relatively complete contents and systems among critical books on calli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mmary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 calligraphic historical and intellectual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systematic critical books on calligraphy in late Joseon Dynasty are critical awareness on the calligraphic historical fetter which uncritically imitated the certain Chinese ways of writing since Unified Silla and the cultural pride that Joseon is the true inheritor of Confucian culture. Second, Lee Seo deeply contemplated on the nature of writing on the bassis of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way of writing of that time, and explained it by applying it constantly from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writing and the reality of creating. But the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ee Seo unified 『Juyeok』and writing structurally and claimed to support Seobeopjayeon . And it contains the possibility of causing mannerism of calligraphic history by interposing 『Juyeok』, the role model which transcends the time and space between the nature and writing. Third, Lee Samman was faithful to the classic view of calligraphy that Writing is derived from nature , and did not interpose the conceptual role model, called『Juyeok』. And he suggested the consistent logic which leads to Jeukjayeon ilbeoojayeon ilsangjayeon and called attention to the close relation between writing and nature. This discussion on calligraphy of Lee Samman secured the theoretical basis for realizing the aesthetic awareness formed from natural features and people s lives of our country with calligraphy, and practiced it through creating pieces.

목차

논문요약
Ⅰ. 序
Ⅱ. 조선전기 이전의 비평
Ⅲ. 독창적 書論의 전개와 그 의의
Ⅳ. 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형(Kim Nam Hyung). (2016).조선후기 書論의 一局面. 서예학연구, (28), 4-26

MLA

김남형(Kim Nam Hyung). "조선후기 書論의 一局面." 서예학연구, .28(2016): 4-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