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5년 출생 문인의 문학사적 위상

이용수 258

영문명
Litterateurs born in 1915 and Their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발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숭원(Soong won Lee)(李崇源)
간행물 정보
『인문논총』30, 7~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소천, 곽종원, 박목월, 서정주, 임순득, 임옥인, 함세덕, 황순원 등의 문인들은 1915년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이십대에 한글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고, 해방을 맞아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전개하여 문학사에 뚜렷한 업적을 남겼다. 그 이후 6·25 전쟁을 겪어 참화의 쓰라림을 함께 경험했다. 요컨대 이들 문인들은 국권 상실, 해방, 전쟁, 분단, 재건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의 파란의 시대에 문학인으로 출발하고 성장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분단과 전쟁으로 빚어진 민족 재편성의 과정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적 축도의 역할도 한다. 강소천, 임옥인, 황순원은 해방기와 6·26 전쟁 중에 월남하여 남한에서 문학 활동을 벌였고, 함세덕은 해방 후 월북하여 활동하다가 6·25 전쟁 때 사망했으며, 전라북도 고창 출신인 임순득은 해방 후 평양에 정착하여 창작 활동을 벌였다. 남한 지역에서 태어난 곽종원, 박목월, 서정주는 6·25 때 피난의 고초를 겪기는 했지만 남한 문단에서 문학 활동을 전개했다. 전쟁 이후 남한에서 활동한 문인들은 모두 문학 창작의 주도적 역할을 했고, 후진에게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서정주와 박목월은 각기 다른 방향에서 한국시의 중심부에 자리 잡아 독자적인 세계를 보여주었다. 황순원은 탁월한 예술정신으로 70세 이후까지 수준 높은 작품을 발표하여 해방 후 소설가의 전범이 되었다. 임옥인은 자신의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여성의 기구한 삶을 여성적 감각으로 표현했다. 강소천은 해방 후 황무지나 다름없던 아동문학계에 동심의 천진성을 형상화한 동화를 집중적으로 창작하여 아동문학의 위상을 높였다. 함세덕은 일제강점기에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세련된 극작술과 언어 구사력을 보여준 작품을 발표하여 희곡사의 중요한 성과를 남겼다. 임순득은 여성의 입장에서 인간의 사회적 현실을 묘파하는 소설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여성주의 시각의 평론을 발표했고, 곽종원은 예술성과 인간성이 조화를 이룬 계몽적 문학관을 자신의 입지로 삼았다. 이들 중 서정주, 박목월, 황순원, 임옥인, 강소천 등은 해방 이전의 문학 유산을 계승하여 새로운 문학을 창조하고, 해방 이전 문학의 한계를 극복하여 전향적 변환을 모색한 문학인으로 내세울 수 있다. 이들은 그들의 강력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이미 후속 세대 문학인들에게 극복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극복과 창조가 문학사의 과정이기에 이것은 지극히 바람직한 일이다. 극복의 대상이 되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자세가 우리 문학의 전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re are several litterateurs who were born in 1915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They have started their literary works in their twenties, and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developing their writing activities; such litterateurs include So-cheon Gang, Jong-won Kwak, Mok-wol Park, Jeong-ju Seo, Sun-deuk Im, Ok-in Im, Se-deok Ham, and Sun-won Hwang. These writers have experienced many hardships and bitter times due to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Korean War. To sum up, the turmoils created by losing sovereignty, liberation, war, division of territory, and reconstruction all have contributed in making these writers who they are, a great litterateurs of Korea. The writers also became a cultural epitome in the reorganization of nation after the north and south division of territory and ensuing wars. So-cheon Gang, Ok-in Im, and Sun-won Hwang engaged in their literature activities after defecting from North to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Se-deok Ham who defected to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and worked as a writer, finally died during the Korean War; and Sun-deuk Im, who was born in Gochang, South Korea began her creative activities in Pyungyang,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Jong-won Kwak, Mok-wol Park, and Jeong-ju Seo all born in South Korea developed their writing skills in South Korea, although they have experienced hard times during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all of those writers in South Korea played a leading role in literary creation and greatly influenced the younger generation. Jeong-ju Seo and Mok-wol Park at the center of Korean poetry circle, showed their own world of literature through a very different light. Sun-won Hwang, with this outstanding spirit of art, published his sophisticated works even long after he turned 70 and his work is considered as a post-liberation literature classics. Ok-in Im, based on her own autobiographical experience, expressed women’s hapless fate through her feminine esthesia. After the liberatio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was like a wasteland, but So-sheon Gang enhanced the status of this field by focusing on creating fairy tales filled with the innocence of childhoo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e-deok Ham published his work of extraordinary refined dramaturgy and marked a great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plays. Based on her feminine esthesia, Sun-deuk Im released a critique revealing social reality from a woman’s point of view, and Jong-won Kwak based his enlightening view on the literary in harmony with artistry and humanity. Among them, Jeong-ju Seo, Mok-wol Park, Sun-won Hwang, Ok-in Im, and So-cheon Gang created new literature with literary inheritance from the era before the liberation and they are regarded as the writers who overcame the limitation of the literature before the liberation and sought prospective changes. In spite of their powerful influence, they have become objects of criticism for the younger generation writers. Conquests and creativity are indeed a part of the progression in Korea’s literary history, which is desirable. Hence, our literary pride and tradition should be based on overcoming numerous hardships.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개성적 서정의 두 측면
3. 현실과 성찰의 서사
4. 아동문학과 희곡문학의 문학사적 정립
5. 문학 비평의 선도성과 계몽성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숭원(Soong won Lee)(李崇源). (2016).1915년 출생 문인의 문학사적 위상. 인문논총, 30 , 7-36

MLA

이숭원(Soong won Lee)(李崇源). "1915년 출생 문인의 문학사적 위상." 인문논총, 30.(2016): 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