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요 여신은 ‘생산’하는가?

이용수 419

영문명
Patriarchal Theology and the Female Deities of Fertility in Korean Mytholog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정진희(Jeong Jin 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1권, 183~22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풍요 여신'에 대한 기존의 통념은 여신을 생산력을 지닌 존재로 간주하고, 그 생산력을 여성 신체의 생산 능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아 왔다. 이 글은 한국 무속 신화의 풍요 여신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러한 통념이 한국 신화의 실상과는 거리가 있음을 밝혔다. 농경 풍요의 여신 신화인 <당금애기>와 <세경본풀이>에서 풍요의 원천이 되는 힘은 남신이 소유한다. 여신들은 그 힘이 지상에 실현되도록 하는 매개자 또는 전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당금애기의 수동성과 자청비의 능동성이 대비되지만, 그들이 관장하는 풍요가 여신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서 비롯된 생산력이 아니라는 점에서 당금애기와 자청비는 공통적이다. 남신이 소유한 풍요의 힘을 여신이 인간 세상에 구현한다는 남녀신 역할은 여산신(女産神) 신화 <생불할망본풀이>나 모녀 부신(富神) 신화 <칠성본풀이>에서도 확인된다. 여기에서도 풍요 여신의 능력은 여신 고유의 신체적 특성에서 비롯되지 않고 남신의 힘을 대리하거나 전유(轉有)함으로써 발휘된다. 풍요 여신 신화는 가부장제 사회의 현실적 젠더 질서를 투영하는 양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신화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통념에 비추어 본다면 이러한 풍요 여신의 형상은 가부장제 하에서 시원적 생산력을 상실한, 왜곡된 대지모신의 모습이라고 할 수도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영등' 신화와 신앙을 살핌으로써 '미분화(未分化)'의 성이 오히려 시원적 생산신의 성별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가부장제 하에서 풍요의 신격이 하필 '여신'으로 형상화되는 것은, 신화 전승 집단인 여성의 주변화/소수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풍요 여신의 공시적 양태를 살피고 통시적 위상을 추론한 것은 '풍요 여신'의 입체적 지형을 그려냄으로써 신화의 실상에 접근하기 위해서였다. 이 글의 의의는 '풍요 여신'을 대상으로 '여기'의 '신화 지형'을 그려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emale deities in korean mythology who give the blessing of fertility such as rich harvest, childbirth, wealth and richness, etc.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t examines the generally accepted mythological idea that the female deity of fertility is the mother goddess in patriarchal societies who had been The Great Mother in matriarchal societies in ancient times. The question that the features of female body such as 'motherhood' or 'maternity' can be the origin of their divine power for fertility is examined. In myths about goddess of agriculture such as , , the owner of divine power is the male deity. The role of the female deities of fertility is a mediatrix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beings or a bringer of divine blessing such as sacred seeds. The female deity follows the orders of the male deity, or appropriate the power of male deity in other myths about childbirth or richness. The root of fertility blessing given to human beings by female deities, is not the female features such as 'motherhood' or 'maternity' but the productive power of the male deity. It means that korean mythology is based on the patriarchal the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emale deities of fertility are not from The Great Mother who has been regarded as the ancient deity in matriarchal societies, and the female deities of fertility have been appeared according to marginalization of women under the patriarchal social orders.

목차

<국문초록>
1. 논의의 출발점: 농경 생산신의 여성성에 대한 통념
2. 농경 풍요신 신화의 풍요 원리
3. 풍요 여신의 역할과 젠더
4. 풍요 여신 신화의 지형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희(Jeong Jin hee). (2015).풍요 여신은 ‘생산’하는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 , 183-224

MLA

정진희(Jeong Jin hee). "풍요 여신은 ‘생산’하는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2015): 183-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