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구전신화에서의 여성의 ‘감성ㆍ감수성’과 신체적 표현

이용수 434

영문명
Women's SensitivityㆍSusceptibility and Physical Expressions in Jeju-do Oral Myths -Focusing on the mythological meaning of anger emotion-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원오(Choi won oh)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1권, 115~14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제주도 구전신화에서 파악되는 '여성 감성ㆍ감수성'과 그것이 여성의 신체적 표현과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의 신화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분노'의 감정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 것이다.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구전신화에서의 '여성 감성ㆍ감수성'과 그에 따른 신체적 표현은 창세신화에서의 여신(女神)의 창조 행위의 변형에 해당된다. 둘째, 제주도 구전신화에서 여신ㆍ여성의 '분노'는 단순한 감정으로서 제시되고 있기보다는 창세신화에서의 여신의 '창조적 힘'이 변용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에 해당한다. 셋째, 부모와의 수직적 관계 속에서 파악되는 여성ㆍ여신 감정과 신체적 표현의 층위, 그 외 타자적 존재들과의 수평적 관계 속에서 파악되는 여성ㆍ여신 감정과 신체적 표현의 층위를 함께 연결시켜서 이해하기보다는 상호 다른 층위에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왜냐 하면 전자의 층위에서는 여성ㆍ여신의 감정이 드러나지 않는 반면, 후자의 층위에서는 '분노'의 감정으로 적극적으로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두 층위는 상호 대립되기보다는 조화를 이뤄 한 편의 신화를 계기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것은 타자를 향한 여성ㆍ여신의 '분노' 감정이 두 층위를 상호 완충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는 데에 기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women's sensitivityㆍsusceptibility observed in Jeju-do oral myths, its correlation with women's physical expressions, and its mythological meaning, focusing on anger emotion. The contents of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s sensitivityㆍsusceptibility and its physical expressions in Jeju-do oral myths are the transformation of goddesses'(女神) creation act. Second, goddesses'ㆍwomen's anger in Jeju-do oral myths is presented as the acculturation of the 'creative power' of the goddesses in the creation myths, rather than as a simple emotion. Third, in our understanding, we need to separate the layer of women'sㆍgoddesses' emotion and their physical expressions presented in their vertical relation with the parents from the layer of women'sㆍgoddesses' emotion and their physical expressions presented in their horizontal relation with others, rather than associating them together. It is because women'sㆍgoddesses' emotion is not exposed clearly in the former layer, but anger emotion is expressed actively in the latter layer. Nevertheless, the two layers appear to be harmonious with each other and construct a myth together rather confronting with each other, and this is because women'sㆍgoddesses' anger emotion toward others plays the role of buffering between the two layers.

목차

<국문초록>
1. 구전신화 속 ‘여성의 몸’을 바라보는 관점
2. 여성의 ‘감성ㆍ감수성’과 신체적 표현의 상관관계
3. ‘여성 감성ㆍ감수성’의 신체적 표현과 창세신화적 기원
4. 결론을 대신하여: '여성 감성ㆍ감수성'의 신체적 표현이 갖는 중층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원오(Choi won oh). (2015).제주도 구전신화에서의 여성의 ‘감성ㆍ감수성’과 신체적 표현.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 , 115-143

MLA

최원오(Choi won oh). "제주도 구전신화에서의 여성의 ‘감성ㆍ감수성’과 신체적 표현."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1.(2015): 115-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