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tudy on Three Contextual Theologians in Korea

이용수 9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선교신학회
저자명
김칠성(Chil-Sung Kim)
간행물 정보
『선교신학』제41집, 79~10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적 혹은 상황화 신학을 시도했던 윤성범, 유동식, 변선환, 이렇게 세 명의 한국신학자들의 간추린 생애와 사상을 주로 연구한다. 윤성범(1916-1980)은 복음서의 가장 중요한 내용을 ‘계시’로 보았다. 그리고 서양인들의 개념인 ‘계시’라는 용어를 유교문화권에 살고 있는 극동아시아의 사람들을 위해 ‘성(誠)’이라는 개념으로 바꾸어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적 상황화 신학을 위해 유동식(1922-현재)은 1960년대에는 한국종교, 1970년대에는 무교, 그리고 1980-90년대는 풍류에 관심을 갖다가, 최근에는 예술에 관심을 갖고 ‘예술신학’을 연구하고 있다. 변선환(1928-1995)의 한국신학은 흔히 ‘토착화 신학’ 혹은 ‘종교다원주의’라고 일반적으로 불리고 있다. 변선환은 한국의 종교다원적 상황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그는 한국기독교는 서양기독교의 타종교에 대한 편견, 교회중심주의, 배타적인 기독론을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한국인들의 문화적, 영적인 심성을 한국의 전통종교연구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다루었기 때문에 아마도 한국적 신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을 진정한 한국적 상황화 신학자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그들 당시에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상황과 한국 교회 대부분의 요구와 전통을 간과 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한국적 혹은 상황화 신학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람들의 문화적, 전통적, 영적, 종교적 심성뿐만 아니라 사회정치적, 경제적으로 급변하는 상황에 대한 대처, 그리고 한국 교회의 요구들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인도하심 속에서 모두 함께 충족시켜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mainly investigates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three Korean theologians (i.e., SungBum Yun, TongShik Ryu, and SunHwan Pyun), who tried to make Korean and/or contextual theology. SungBum Yun (1916-1980), who regarded “Revelation” as the main content of the Gospel, offered the Confucian concept of “Sung” ( , sincerity) 誠 as the replacement for the Western theological notion of revelation for the Far East Asians who live in the Confucian cultural context. The main contextual theological concern of TongShik Ryu(1922-the present) has changed or developed from religions in Korea (1960s), Shamanism (1970s) to PungRyu (풍류,1980-90s), and then Ryu is more recently interested in YeSul (예술, Art or Beauty) theology. The Korean theology of SunHwan Pyun (1928-1995) is generally called “ToChakHwa (토착화),” which means “contextualization” or “Religious Pluralism” in Korea. Pyun paid attention to the religious pluralistic context in Korea, and he asserted that Korean Christianity should overcome three aspects (i.e., the Western prejudice toward other religions, Ecclesiocentricism, and the exclusive absoluteness of Christology) of Western Christianity. The three figures might be Koreanized theologians in that they dealt with the Koreans’ cultural and spiritual mind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y were authentic contextual theologians, because they ignored the Hanful (suffering or oppressed) social situation as well as the need and tradition of most Korean churches. Thus, an authentic Korean and/or contextual theology must meet the demands of people’s cultural, traditional, spiritual and religious mind; socio-politically and economically variable situation; and Korean churches; under the guidance of Triune God.

목차

I. Introduction
II. Life and Thought
III. Similarity
IV. Difference (Religion and Approach)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칠성(Chil-Sung Kim). (2016).A Study on Three Contextual Theologians in Korea. 선교신학, 41 , 79-104

MLA

김칠성(Chil-Sung Kim). "A Study on Three Contextual Theologians in Korea." 선교신학, 41.(2016): 7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