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슬픈 기부광고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85

영문명
The Effects of Sad Donation Advertising on Donation Behaviors: Mood Valence vs. Mood Variation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주경희(Chu, Kyounghee) 김지윤(Kim, Ji Yoon)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3권 제6호, 31~4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으로 기부가 매우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기부관련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혼재된 결과를 보이고 있는 무드와 기부행동 간의 관계를 재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무드 극성(valence)과 무드 변화량(variation: 사전 무드 -슬픈 기부광고 노출 후 무드)중에서 무엇이 기부행동을 더 잘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더불어, 무드의 변화량이 기부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는 심리적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즉 슬픈 기부 광고가 유발하는 부정적 무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세탁효과, laundering effect) 기부행동이 증가하는 것인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부정적 무드 감소는 슬픈 기부광고 노출 후 경험한 무드에서 기부의도 결정 후의 무드를 차감하여 만든 하나의 지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세탁효과 를 검증하였다. 실험을 통한 검증 결과, 긍정적 무드와 부정적 무드에 따라, 즉 무드 극성(valence)에 따른 기부의도에 차이가 없음이 검증되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다음으로 무드 변화량(variation)이 기부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침이 검증되어 가설 2도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메커니즘으로 제안한 슬픈 기부 광고로부터 경험한 부정적 무드를 줄이기 위한 세탁효과의 완전 매개가 검증이 되어 가설 3 역시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혼재되어 있던 무드와 기부행동 간의 관계를 재검증함으로써 기부 연구 분야에서 무드 변화량이라는 변수를 새롭게 제안하여 무드와 기부에 관한 연구를 보다 확장하고, 마케팅 분야에서 무드 변화량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키는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기부광고 기획 시 무드 변화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고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고, 또한 기부행동이 나타나는 메커니즘으로 사람들의 부정적 무드의 감소, 즉 세탁효과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소비자의 기부행동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실무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Even though donations are socially a very important issue, donation-relevant researches are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rify a relation between mood which shows mixed results i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donation behavior. It examined which one of mood valence and mood variation (mood before donation ads exposure – mood after exposure to sad donation ad) explained the donation behavior better. In addition, the study verifiedwhat was a psychologicalmechanismwhich explains themood variation’s effect on donation behavior, that is, whether the donation behavior was increased to reduce a negative mood(i.e., negative mood’s laundering effect) caused by sad charity donation advertisement. In other word,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mood variation (mood after exposure to sad donation ad– mood after donation decision) on dona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rough experiment,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onation intention by mood valence, depending on positive mood and negative mood, and that the mood variation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donation intention. Also,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variation and donation intention was mediated by ‘laundering effect’ for reducing the negative mood resulting fromsad donation ads. This study re-verified the relation between mood and donation behavior and this study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built the foundation to promote the donation-relevant research by suggesting themood variation newly in the donation research field. Also, it is important formarketers to design the advertisement which can increase potential giver’s mood variation, when designing the donation advertisement. Moreover, it has a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that understanding and utilizing people’s laundering effect of reducing negative moods as a key mechanismof the donation behaviors could increase consumers’ donation behavior.

목차

I. 서 론
III. 실 험
I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경희(Chu, Kyounghee),김지윤(Kim, Ji Yoon). (2015).슬픈 기부광고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3 (6), 31-40

MLA

주경희(Chu, Kyounghee),김지윤(Kim, Ji Yoon). "슬픈 기부광고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3.6(2015): 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