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영화에 나타난 ‘만주’ 표상의 가치와 활용방법 연구

이용수 155

영문명
A Study on the Value and Utilization Methods of ‘Manchuria’ Representation Appeared in Korean Movies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최수웅(Choi, Soo-wung)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4권 4호, 175~20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주(滿洲)’는 한국영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표상이다. 1960년대 활발하게 제작된 만주웨스턴은 웨스턴 장르의 문법을 한국 상황에 접목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만주 표상을 활용했다. 만주가 가진 개척지로의 면모를 부각했고,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고독한 영웅으로 독립투사를 제시했다. 하지만 이들 작품에 재현된 만주는 이국적 풍경으로 작용했을 뿐, 공간의 역사와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부재했다. 만주웨스턴의 주제가 박정희 정권이 강조했던 집단가치와 손쉽게 결탁되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만주웨스턴의 완결판으로 평가되는 이만희 감독의 <쇠사슬을 끊어라> 역시 다르지 않다.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개인적 욕망을 추구하는 캐릭터를 내세웠지만, 결국 이들의 욕망도 국가주의라는 대의명분으로 봉합되어 버린다. 이러한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놈>이 만들어진다. 이 작품은 기존 만주웨스턴의 창작방법을 계승하면서 보완한다. 다양한 장면연출을 통해 혼종성을 강화했는데, 이는 역사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만주를 개인적 욕망의 각축장으로 표현했는데, 이를 위해 각 캐릭터의 욕망을 ‘돈’이라는 매개물을 통해 구체화했다. 또한 등장인물들이 가진 욕망의 발현과 충돌을 속도로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활용방법을 창출했다. 그러나 이 작품 역시 만주 표상의 가치를 충분히 활용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어디까지나 발전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 혼종성의 폭이 여전히 한정적이라는 점에 아쉬움이 남는다. 일제강점기 만주는 보다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혼재된 땅이었다.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만주의 역사에 대한 깊은 천착도 필요하다. 특히 독립투사들의 활동은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되어야 한다. 그동안의 작품들은 한정된 사료(史料)만 활용했고 표현도 막연했다. 만주는 현재 중국 영토에 속한다. 하지만 만주 표상만큼은 한민족은 물론이고, 일제강점기라는 엄혹한 시절을 함께 견뎌낸 모든 민족이 공 유할 수 있는 공통의 자산이다. 앞으로 관련 연구가 진행될수록 만주의 여러 의미가 드러나고, 다양한 활용방법이 도출될 것이다.

영문 초록

‘Manchuria’ is a representation that has important meanings in Korean movies. Manchurian westerns that were actively produced in the 1960s utilized Manchuria representations as a means to graft the grammar of western genre to Korean circumstances. They highlighted the appearance of Manchuria as the frontier and presented the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as lonely heroes fighting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owever, Manchuria that was represented in these works acted only as exotic scenery and had no introspection on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space. This is the reason that the theme of the Manchurian westerns colluded easily with the collective value emphasized by the Park Chung-hee regime. Break up the Chain that is evaluated as the Director Lee Man-hee’s final edition also shows no difference. Unlike the previous works, it set forth the character that pursued personal desires but eventually these desires were also sealed in a good cause that is nationalism. Based on thes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Director Kim Jee-won’s The Good, The Bad, The Weird was made in 2008. This work inherits the creation method of the existing Manchurian westerns, and at the same time, complements it. Through creation of diverse scenes, it reinforced hybridity and this reflecte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Also, Manchuria was represented as the arena of competition of personal desires and to do this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were materialized through ‘money’ as the medium. And it created a new utilization method by representing the expressions and conflicts of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through speed. However, it is also difficult to judge that this work sufficiently utilized the value of Manchurian representation. It has only significance in terms of developmental inheritance. Most of all, the fact that the breadth of hybridity is still limited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Manchuria was the land where more diverse ethnic groups and cultures were mix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Also,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history of Manchuria. Particularly, the activities of the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should be highlighted more concretely. The existing works have utilized only limited historical data and their expressions were vague. Currently, Manchuria belongs to the Chinese territory. However, at least Manchuria representation is a common asset that can be shared by not only Korean people but all the nations that endured together the harsh Japanese Colonial era. As the related researches continue to be conducted, various meanings of Manchuria will be revealed and diverse utilization methods will be derived.

목차

I. 서론
II. 이국 풍경의 재현과 집단가치 표현 :이만희 감독의 <쇠사슬을 끊어라>(1971)
III. 혼종성의 강화와 질주하는 욕망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
IV. 결론 : 만주 표상의 문화예술적 활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웅(Choi, Soo-wung). (2015).한국영화에 나타난 ‘만주’ 표상의 가치와 활용방법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 (4), 175-203

MLA

최수웅(Choi, Soo-wung). "한국영화에 나타난 ‘만주’ 표상의 가치와 활용방법 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4(2015): 175-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