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徐寶琦의 《二嫫》와 余華의 《許三觀賣血記》에 관한 비교 시론

이용수 14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金水珍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47집, 200~222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徐寶琦, 余华 등의 일련의 작가들이 왜 90년대 들어서 매혈을 소재로 한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을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徐寶琦의 《二嫫》와 余华의 《許三觀賣血記》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작가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에 관해 고찰하였다. 우선,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는 피와 물의 이미지와 상징성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두 소설이 모두 二嫫와 許三觀 이 두 인물의 매혈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는 가운데, 설정된 서로 다른 배경과 상황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서로 다른 서사를 전개하고 있는지 고찰해봄으로써 작품이 갖는 그 의의를 조명해 보았다. 생명의 근원으로 인식되는 ‘피’의 이미지는 ‘물’의 이미지와도 연결되어 있으며, 생명의 창조와 파괴성이라는 극단적인 양자의 이미지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물과 피의 이러한 이미지는 두 작품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두 작품 속에서의 피의이미지와 그것이 상징하는 바는 삶과 생존의 상징이자 희생과 상처의 상징인 것이다. 농촌 여인 二嫫에게 있어서 매혈 행위는 곧 반어적으로 삶의 생존의지에 대한 강렬한 표현이자, 비록 잠시 일탈을 하기는 했지만 과거와 같은 행복한 가정을 꿈꾸며 가족을 위해 그녀가 행한 최대의 희생임을 알 수 있었다. 도시 노동자 許三觀은 농촌에 뿌리로 두고 있기때문에, 농촌사람들의 매혈 관념을 그대로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도시에서 계속 살아온 같은 도시 노동자인 아내 許玉蘭의 매혈 관념과는 다른 인식을 보여준다. 許三觀은 평탄한 노년에 들어서조차도 어려운 상황이 닥치면 매혈 행위를 통해 언제라도 가족을 위해 다시 희생할 준비가 되어있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二嫫로 상징되는 농촌 사람이나 許三觀으로 상징되는 도시 노동자는 가난한 하층민들로,이들은 모두 생명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최후의 수단으로 자신의 신체에서 매매가 가능한피를 팔아 각각 삶의 의미와 가족의 생존을 얻고자 하였다. 90년대 이래로 중국에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가 확립되면서 농촌, 도시사회 할 것 없이 사람들은 저마다 ‘往前看’ 대신에 ‘往钱看’을 목표로 살아오고 있다. 금전만능의 관념이 사회주의 국가에 비집고 들어온 혼란한 상황 속에서, 이 두 작가는 ‘문학의 눈’으로 가난한 이의 생존방식이자 자기희생의 의미를 지닌 매혈이라는 소재를 통해 삶과 희생의 의미를 다시금 짚어보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asking “Why did such writers as Xu Baoqi and Yu Hua start to write works on selling blood in the 1990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rmo by Xu Baoqi and The Blood-selling Legend of Xu Sanguan by Yu Hua and examined what the two authors tried to tell the readers in the works.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images and symbolicity of blood and water as the main materials of the two works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m in what ways they developed different narratives in different backgrounds and situations based on the common denominator of selling blood, trying to figure out their significance. The images of “blood” regarded as the source of life are connected with those of “water”. The images of both water and blood, which have extreme images of life creation and destruction, were fully passed down in the two works, in which blood represented life and survival and also sacrifice and wounds. A rural woman Ermo sold her blood, and it was ironically the expression of her strong will for life and survival. There was a brief moment of deviation in her past, but she sold her blood as her biggest sacrifice for her family, dreaming of her old happy family. An urban worker, Xu Sanguan kept the concept of selling blood shared by the rural people since he was rooted in a rural community. He showed a different perception of selling blood from his wife, Xu Yulan, who was an urban worker that had lived her life in a city and argued that selling blood should be forbidden. Xu Sanguan was depicted as a figure that was ready to sacrifice himself again for his family by selling blood whenever a difficult situation would occur. Both rural people represented by Ermo and urban workers represented by Xu Sanguan belong to the poor lower class. They resorted to the last means of securing the meaning of life and ensuring the survival of family while causing no damage to life, and it was selling blood that was a sellable part of body. With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t market economy” system in China since the 1990s, Chinese people have pursued a goal of “moving forward toward money” instead of “moving forward toward future” whether they live in a rural or urban community. In a confusing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All Mighty Dollar had infiltrated into the socialist nation, the two authors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s of life and sacrifice through the material of selling blood, which was the method of survival and self-sacrifice among the poor, in the “eye of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피와 물의 이미지와 상징
3. 매혈 서사의 전개 양상
3.1 농촌여인 二嫫의 매혈 서사
3.2 도시노동자 許三觀의 매혈 서사
4. 나오며 – 문학의 눈으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水珍. (2015).徐寶琦의 《二嫫》와 余華의 《許三觀賣血記》에 관한 비교 시론. 중국소설논총, 47 , 200-222

MLA

金水珍. "徐寶琦의 《二嫫》와 余華의 《許三觀賣血記》에 관한 비교 시론." 중국소설논총, 47.(2015): 200-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