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usis on the actual state of the Public Land Bank System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김행종(Kim, Haeng Jong)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1권 제2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7.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토지의 비축에 관한 법률의 시해에 따라, 성공적인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실현을 위해 공공개발용 토지의 비축을 위한 대상지 선정과 공공비축토지의 정책사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 인식하에 비축대상토지의 선정시 고려해야할 요인을 규명하고 항목간 상대적 요인등을 도출함으로써 비축대상지 선정의 객관성 확보를 통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준거를 마련하고 나아가 정부의 토지비축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공공토지비축제도와 관련한 기초개념을 명확히 정립한다. 둘때, 토지시장의 안정 및 공익사업용지의 원활한 공급이라는 목표를 실현한다. 셋째, 공공토지비축사업으로 선정된 대상사업지의 지가변동 현황 등을 조사 및 분석한다. 넷째, 공공토지비축 관련 전문가의 자문조사 등을 통하여 조사하고 도출된 개선방안 등을 모색한다. 따라서 향후 전문가를 활용한 공공개발용 대상비축 토지선정기준의 마련과 관련된 부문을 보다 심도 있게 구체적으로 다루어 공공토지비축대상 토지선정기준의 준거, 향후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제도개선과 활성화 방안 등 각종 제도의 발전방향을 마련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ublic land bank, business and policy issues that suc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successful public land bank system selection and designation of reserve land for public reserve land for public development for the realization of recognized under the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target reserve land to provide a conforming provision of further government decisions and policies of land reserves based upon data obtained through the objectivity of the reserve designation chosen by deriving such items between relative factor has to. Results First, the public land bank System clearly established and the basic concepts related help. Second, we realize a stable and smooth supply of public interest objectives of the business media in the land market. Third, the land of the destination place of business was chosen as public lands, including stockpiling of updates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urth, the research in consultation survey of public land reserves and related professionals seeking such improvements derived. Thus, for future professional development utilizing public reserve land subject in more depth the sector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he selection criteria allowing targeted specifically addressed public land reserve land selection criteria for conformity, future public land bank system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various institutions establish a development direction.

목차

1. 서 론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이론적 기초
2.1 공공토지비축의 정의
2.2 공공토지비축의 선행연구
2.3 공공토지비축의 필요성
2.4 외국의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시사점
3. 공공토지비축제도의 현황과 사례분석
3.1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운영 및 현황분석
3.2 공공토지비축사업 승인 및 실적 현황분석
3.3 공공토지비축계획수립의 운영 및 사례분석
4. 공공토지비축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4.1 공공토지비축제도의 문제점
4.1.1 토지수급계획의 미비문제
4.1.2 토지이용계획상의 미반영 문제
4.1.3 재원 및 운용상의 문제
4.2 공공토지비축제도의 발전방향
4.2.1 토지수급계획의 수립 및 시행
4.2 2 토지이용계획의 수립 및 실천
4.2.3 재원확보 및 운용상의 문제해결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행종(Kim, Haeng Jong). (2015).공공토지비축제도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1 (2), 1-15

MLA

김행종(Kim, Haeng Jong). "공공토지비축제도의 실태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1.2(2015):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