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春陽橋와 月淨橋의 築造時期에 대한 檢討

이용수 184

영문명
Investigation about the construction - time of Chunyang and Woljeong Bridges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서병국(Seo Byoung Guk)(徐秉局)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1호, 245~28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春陽橋와 月淨橋는 신라의 궁성인 월성과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춘양교는 월성에서 220m 이격되어 배모양 교각 3개와 동·서 교대지로 축조되었으며 길이 약 55m, 너비 약 15m 규모이다. 월정교는 월성에서 32m 떨어져 배모양 교각 4개와 남·북 교대지가 확인되었으며, 규모는 길이 약 61m, 너비 약 12m 이다. 이 두 교량지는 거의 동일한 형태와 구조로 만들어져 동시에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는데 『三國史記』 景德王條에 “景德王 19년 (A.D. 760) … 2월, 궁중에 큰못을 파고 또 궁의 남쪽 蚊川上에 月淨橋와 春陽橋 두 교량을 놓았다.”라는 기록이 남아있어 문헌기록과 잔존유구가 일치하는 유적이다. 교량은 강이나 하천과 같은 자연장애물을 극복하고 도로를 연결시키는 기본적인 역할뿐만 아니라 정치·군사·경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대에는 더 많은 상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이다. 고도의 건축기술이 집약된 구조물인 교량은 고대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당대 기술력을 상징하는 대표하는 건축물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춘양교와 월정교는 규모나 위치, 축조방법을 보아 신라를 대표하는 건축물중 하나였음이 분명하다. 두 교량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는 교량의 규모와 역사적 의의에 비해 교량의 구조를 밝히기 위한 발굴조사와 복원을 위한 자료 수집에 편중되었고, 축조시기와 기능에 대한 검토는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축조시기에 대해 아무런 문헌적과 고고학적 검증절차 없이 『三國史記』 의 기록에 너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 문헌자료와 석축방법, 은장을 비교분석하여 두 교량의 축조시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춘양교와 월정교 이전에 교량이 존재하였고, 경덕왕대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 이유는 두 교량이 만들어진 위치에 선대의 교량이 존재하였음이 발굴조사 결과 확인되었고 『三國史記』교량 축조에 사용된 한자는 ‘新成’, ‘設’, ‘造’, ‘作’으로 ‘起’를 사용한 예가 확인되지 않고, 석축방법에 있어 문무왕대의 감은사, 남산 장창지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교각의 부재 이음을 위해 사용된 은장은 월지, 감은사지삼층석탑, 고선사지삼층석탑, 나원리오층석탑에서 확인되는데 모두 경덕왕대 이전이며 7~8세기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량의 중섬적인 구조인 교대와 교각은 문무왕대 이미 축조되었고, 경덕왕대에 두 교량을 동시에 개·보수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There is Chunyang and Woljeong Bridges near the Wolseong, the royal castle. Chunyang Bridge was constructed with three piers of ship-shaped and east-west abutments. It is located 220m far away from the Wolseong and about 55m in length and 15m in width. Woljeong Bridge is 32m far away from the Wolseong and it was made with four piers of ship-shaped and south-north abutments. It is about 61m in length and 12m in width. These two bridges were made with the nearly identical shape and frame. Therefore we can see the truth that those things were constructed simultaneousely. In 『Samguk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re is a record, which says that in the 19th year of King Gyoungdeok (A.D. 760) a big pond was made in the palace and in the south of the palace, Chunyang and Woljeong Bridges were constructed. It shows that the document and remains accord. Bridges play not only a basic role of conquesting the obstacles such as the river and streams, linking the way but also a role of connecting the politics, military affaires and economics. Maybe in the ancient time it must have charged much more symbolic roles. In the Bridges, high level of building skills was used intensively and they are the architectures showing the technical power of those days since the ancient time and present time. In these facts, it 1s clear that Chunyang and Woljeong Bridges are the architectures representing Shilla kingdom in the scale, location, the way of construction. Until now the studies are preponderant to the investigation for clearing up the structures of bridges and collection of the data for restoration compared with the scale or the historical meaning. And there was no consideration abou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the function. In fact, without any archeological inspection procesure about the time of construction it depends on the documents in 『Samguksagi』. So in this article, through the way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data, the way of reinforceing stone wall, butterfly join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two bridges was reexamined. As a result, we found there was a bridge before the existence of two bridges and possibly there was a immence repair in the era of King Gyoungdeok. It was verified that the bridges of previous generation existed on the location where the two bridges were made. And the chinese character used in the construction of bridges is Shinseong(新成), Seol(設), Cho(造), Jak(作). The example that these words were used was not found and the way of reinforceing stone wall is similar to the that of Gameunsa temple site, Jangchangji(warehouse). butterfly joint used for linking of subsidiary materials was found in Wolji(Anapji), Three Storied Stone Stupa of Gameunsa temple site, Three Storied Stone Stupa of Goseonsa temple site, Five Storied Stone Stupa of Nawon-ri temple site. All of these things were used before the era of King Gyoungdeok, mainly 7th~8th century. The central structure of abutment and a bent was already constructed in the era of King Munmu and it is highly possible to repair the two bridges in the era of King Gyoungdeok.

목차

요약
I. 머리말
II. 연구사
III. 문헌기록 및 사회배경
IV. 고고학적 검토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병국(Seo Byoung Guk)(徐秉局). (2005).春陽橋와 月淨橋의 築造時期에 대한 檢討. 중앙고고연구, (1), 245-283

MLA

서병국(Seo Byoung Guk)(徐秉局). "春陽橋와 月淨橋의 築造時期에 대한 檢討." 중앙고고연구, .1(2005): 245-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