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이용수 1491

영문명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 of Self-efficacy on Learning Understanding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류은수(Ryu, Eun Su) 서민원(Seo, Min Wo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3호, 903~9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150개의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두변인 간의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검증을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연구모형-Ⅰ로 설정하여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변인 중각 시점에서 어떤 변인이 인과적인 선행변수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남․여학생 집단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모형-Ⅰ(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각 변인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종단적 변화양상을 연구모형-Ⅱ(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종단적 연구방법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첫째,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수업이해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 보다는 오히려 수업이해도가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종단적인 효과의 크기와 인과적 방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여학생 집단별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는 남․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이전 학년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의 요인이었다. 그리고 남․여학생 집단별로 각 조사시점에서의 수업이해도가 다음 학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며, 남․여학생 간의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자기효능감과 수업이해도 간의 인과관계와 미치는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았으나 남․여학생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반복 측정된 수업이해도와 자기효능감 변인 간의 학생 개인별 변화추이는 중학교 2학년 때 수업이해도가 높은 경우 자기효능감도 높았으며, 수업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자기효능감도 점차 향상된다는 개인 간의 종단적인 관련성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 according to causality of two variables, 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nd difference according to sexuality targeting 6,908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nationwide 150 middle schools using the data of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has been being conducted since 2005 by KEDI(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this purpose, it was examined which variables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act as a causal antecedent annually at each point through sett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s a research model-Ⅰ. And, the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model-I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initial values and change rates between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nd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between two variables were reviewed through setting a research model-Ⅱ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uch analysis results of longitudinal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e could understand the longitudinal effect size and casuality direction that learning understanding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learners rather than self-efficacy decisively affects on improvement of learn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result that the learning understanding highly affects on self-efficacy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Second, the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goes up by groups of male and female emphasized that the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previous grade was a cause of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the next grade in both groups of male and female. And, the affections of learning understanding on self-efficacy in the next year were not changed at the time of survey for each male and female group, and furthermo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affections on casuality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earning understanding were not changed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trend of change by students individuals between learning 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as the time passed reveal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that high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in the 2nd grade of the middle school results in high self-efficacy, and as learning understanding becomes high, self-efficacy is improved graduall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2015).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7 (3), 903-932

MLA

류은수(Ryu, Eun Su),서민원(Seo, Min Won).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자기효능감이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종단적 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27.3(2015): 903-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