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성(遊星)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

이용수 90

영문명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주도홍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34권, 213~2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을 추적하는데 본 글의 목적이 있다. 김준곤은 1958년부터 시작된 한국 CCC를 통하여 1962년부터 2009년 그가 세상을 떠나기까지 민족복음화를 외쳤는데, 민족복음화가 김준곤의 통일신학이었다. 자신의 아버지와 처를 그의 눈앞에서 무참히 공산당에게 목숨을 잃어 체험적 반공주의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김준곤이 어떻게 북한을 가슴에 품고 그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사랑할 수 있었으며, 결국 사랑으로 하나 되는 남북통일을 외쳤는지를 살펴본다. 김준곤이 외친‘사랑의 통일’(reunification of love)의 이론과 동족을 향한 사랑의 구체적 실천을 살피게 되는데, 김준곤의 통일신학이야말로 그의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이었다.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은 오늘분단 하 길을 잃은 한국교회에게 나름대로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JOONKON Kim’s ‘national evangelization’ as ‘theology of reunification’. From 1962 to his death in 2009,Joonkon Kim, through Korea CCC, pursued a ‘national evangelization’, which was his ‘theology of reunification’. Losing both his father and wife to the communist party should have turned him staunchly anti-communist, but he transformed this negative event into a passionate pursuit of reunification through love. This essay pursues the theory and exercise of ‘the reunification of love’ he advocated, which can be most aptly characterized as a ‘public theology’. Joonkon Kim’s ‘national evangelization’ as thelogy of reuinification can provide guidance to today’s Korean Church as it ponders its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of reunific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통일에의 비전
3 민족복음화 통일
4 민족복음화 통일운동
5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도홍. (2015).유성(遊星)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 개혁논총, 34 , 213-240

MLA

주도홍. "유성(遊星)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 개혁논총, 34.(2015): 213-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