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혁신학과 고대 근동 연구

이용수 451

영문명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이희성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34권, 27~6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구약의 역사적 해석을 위해 고대 근동학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한 개혁 주의적 관점을 소개한다. 비록 고대 근동학이 150년이라는 짧은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구약 성경과 관련하여 많은 논쟁을 유발 하였다. 구약과 고대 근동학과의 상관성에 관한 프리드리히 델리취, 휘틀렘, 피터 앤즈 논쟁들은 고대 근동학을 다룸에 있어서 성경관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개혁주의적 관점으로 고대 근동학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혁주의 성경관이 제시하는 성경의 권위와 유기적 영감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성경의 유기적 영감설에 입각하여 성경의 저자가 살았던 역사적, 문화적, 언어적, 종교 적 배경 등을 이해하는 것은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과정이다. 이 과정 가운데 고대 근동학은 분명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구약 성경의 역사적 해석을 위해 해석자는 구약 본문의 신학적, 역사적, 문학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왜냐하면 해석자가 구약 본문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본문의 역사적 해석 방법론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구약의 역사적 해석을위해 고대 근동의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해석원리와 방향성을 가지고 다루어야한다. 첫째, 고고학의 기여와 한계를 인식하고 고고학적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하나님의 계시로서 구약 성경의 권위와 독특성을 인정해야 한다. 고고 학적 자료들을 비평적으로 분석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주해에 적용하고 나아가 성경의 역사적 사실을 변호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비교 연구를 통해구약과 고대 근동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인식해야 한다. 비교 연구 대상이 고대 근동 자료의 개별적인 특징들을 뿐만 아니라 세계관, 문화적 역동성, 문학적 장르의 상관성과 같은 개념적 이슈들을 다루어야 한다. 구약의 저자들은 고대 근동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속에서 살았기 때문에 유사성이 있고 구약의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언약 백성들로서 주변의 국가들의 종교, 세계관과는 다른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약의 역사적 해석을 위해 고대 근동학의 자료들과 비교 연구의 과정 속에서 해석자는 성경의 본문의 권위와 독특성 하에서 고고학적 증거들을 면밀하게 평가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suggest Reformed Theological perspective of Ancient Near East(ANE) studies for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Even though ANE studies have only 150 years of history, they have caused many controversies in relation to the Old Testament study. The debates of Friedrich Delitzsch(1850-1922), Keith W. Whitleam, Peter Enns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ANE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view of Scripture in dealing with ANE materials. In oder to approach AN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he or she has to understand the authority and organic inspiration of Scripture. Organic inspiration of Scripture emphasizes both divine and human author. As the theory suggests, to comprehend the historical, cultural, linguistic, and religious background of the world where the biblical author lived is an necessary process for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In this process ANE studies will certainly play a key role in perceiving the religiou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author of Scripture. The interpreter should have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theological, historical, and literary features of the Old Testament text because the method of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depends upon the interpreter’s viewpoint of the text. And the outcomes from ANE studies should be employed under the following principles and guidelines. First, we should acknowledge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archaeological studies to the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As we analyse archaeological materials, we also should stand on the our confessional beliefs such as authority and uniqueness of the Old Testament as God’s revelation. We should also critically analys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from ANE studies and evaluate it objectively and apply it carefully to exegesis, and furthermore defend the historicity of the biblical text. Secon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e should be able to consid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ible and ANE. There are similarities because the Old Testament authors lived in the historical and literary environment of AN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cause Israelites as God’s covenant people had their unique religion and world view that are different from the surrounding nations. The comparative studies should focus on not only individual features of the material but also conceptual issues such as world view, cultural dynamics, and literary genres. The interpreter should carefully evaluate all pieces of ANE information and use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to determin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biblical text which is unique and authoritative.

목차

1 서론
2 고대 근동과 구약 성경의 역사성 논쟁
3 구약의 역사적 해석을 위한 개혁주의 성경관
4 역사적 해석을 위한 구약 본문의 세 가지 특성
5 고대 근동 연구의 방향 제안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성. (2015).개혁신학과 고대 근동 연구. 개혁논총, 34 , 27-62

MLA

이희성. "개혁신학과 고대 근동 연구." 개혁논총, 34.(2015): 27-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