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감(共感) 능력’과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331

영문명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ympathy ability’ and ‘sensus fidei’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송용민(Song Yongmin)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36호, 167~21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감과 소통의 부재를 앓고 있는 현대 문명사회 속에서 제러미 리프킨의 저서 『공감의 시대』는 인류의 지속 가능한 세상을 위한 문명사적 전환을 요청하고 있다. 그는 인류의 공감적 특성이 진화해 온 과정을 들여다보고, 지금까지 공감이 우리의 여정을 어떻게 꾸려 왔으며 앞으로 하나의 종으로서 우리의 운명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 살펴봄으로써 문명사에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류가 당면한 공존과 생존의 문제에 맞서 오늘날 적자생존과 부의 집중을 초래한 경제 패러다임을 끝내고 이제는 인류가 오픈소스와 협력이 이끄는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이 좋은 반향을 얻고 있다. 리프킨의 공감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이에 대한 요청은 인간이 문명사에서 본성적으로 공감하는 존재(호모 엠파티쿠스)임을 확인하고, 공감 능력을 상실해온 인류 역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의식 혁명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역설하기 위해서였다. 리프킨은 공감의 능력이 본래 신화적 의식에서 신학적 의식으로, 이데올로기 의식에서 심리학적 의식으로 발전해온 문명사적 관점들 속에서 어떻게 인류의 정치경제적, 문화적, 종교적 변화를 일으켜왔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3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협력과 협동의 에토스로 새로운 공감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는 밀레니엄 세대의 도래를 예상하였다. 공감 능력이 단순히 인간의 본성적 구조라는 리프킨의 주장에는 다소 비약과 인문학적 상상력이 표현되어 있다. 하지만 이 공감 능력이 그리스도교 신앙 역사 안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는 점은 신앙 행위를 가능하게 해주는 내적 소인으로서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중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예수의 스토리에 깊은 매력과 공감을 가지고 그의 복음적 사건에 공감하고 참여하면서 하느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깊은 신뢰와 희망 속에서 자라났다. 물론 인간의 신앙 행위 안에 인식론적 원리로서 신앙 감각의 의미와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내재적 원리임을 전제한다면, 신앙 감각은 그리스도 신앙이 지닌 고유한 공감 능력의 종교적 발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신앙 감각은 따라서 교회 역사 안에서도 시대와 문화의 맥락 속에서 성장하고 양육되어 왔으며, 비록 교회가 처한 사회적 현실 속에서 신앙 감각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평가가 달랐지만,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구성원 전체에게 선사된 은사로서, “진리의 영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되어진 초자연적 신앙 감각”(「교회헌장」, 12항)의 신학적 가치와 교회론적 원리를 재인식하기에 이르렀다. 전통적인 교회관에서 신앙 감각이 단순히 교도권의 가르침에 순응하는 메아리로 치부되던 것과는 달리 공의회는 신앙 감각이 하느님 백성 전체가 드러내는 그리스도의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리스도교가 인류 문명사에 이루어온 희망의 표징들을 지속 가능한 세상으로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인의 신앙 감각에 내재되어 있는 공감적 본능과 공감의 원리들을 신학적으로 풀어낼 필요가 있다. 그것은 개별적 신앙 감각을 통하여 절대 신비이신 하느님을 향한 인간 의식의 궁극적 지향성을 회복하고,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구원 체험을 이룬 교회 공동체가 본성적으로 성령에 의해 일깨워지고 양육된 신앙 감각을 통하여 공동의 합의(consensus)를 이룰 수 있는 신앙 공동체적 기초를 이루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날 가톨릭교회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현대 문명사회와 소통하면서 세상 속 교회를 표방하고,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보편적 구원을 선포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신앙의 보편성과 역사성이 지니는 공감적 감수성을 신앙 감각에서 재발견했기 때문이다. 교회는 신자들의 예언자적 은사로서 신앙 감각을 교회론 안에서 올바르게 정립하여 인류 문명에 중대한 기로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이 지닌 구원적 도구로서의 가치를 발휘하는 예언자적 직무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Current civilized society is faced with the absence of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In “Sympathy era” written by Jeremy Rifkin, he demands the conversion of historical civilization for the possible continuing era. He looked into the process of mankind-sympathy-characteristic-evolution; he examined how sympathy manages mankind journey, and how we should decide our fates as a species, and then try to present new interpretation on civilization history. Confront by coexistence and existence problems which mankind is faced, he proposed that it is the time to open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led by mankind open-source and cooperation after finishing the economy paradigm which has caused current survival of the fittest and wealth concentration. His proposal evokes good responses. Rifkin’s request of paradigm transfer to sympathy era conforms that human beings are originally Homo emphaticus, ‘being of sympathy’,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states paradoxically that new consciousness revolution is absolutely needed in mankind history which is deprived of sympathy ability. Rifkin examined in the points of historical civilization how this sympathy ability is developed from mythological to theological consciousness, from ideological to psychological consciousness, and how this ability provoked changes i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religion. He predicted the coming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of the 3rd industry revolution era, which would be a millennium of creating new stream of sympathy under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ethos. Christian faith is grown by deep trust and hope of coming of God’s kingdom has attraction and sympathy in Jesus story, then sympathizes and participates to Gospel events. Presuppose that the meaning of ‘sensus fidei’ is cognitive principle of faith activity and Church’s intrinsic principle as a faith community, it makes no difference that ‘sensus fidei’ is religious sudden rise of original ‘sympathy ability’ in Christian faith. ‘sensus fidei’ is developed and cultivated in the interconnections of era and culture in the Church history although the evaluations on its role and value of ‘sensus fidei’ in the realistic society were different which the Church face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2nd Vatican Council, the theological value of the Church’s principle of “supernatural sensus fidei awaken and cultivated by the Spirit of Truth” (LG 12), the charisma bestowed to all church members as People of God comes to re-recognize. In traditional Church view, ‘sensus fidei’ was thought as a simple echo to Magisterium teaching, the 2nd Vatican Council emphasized that ‘sensus fidei’ is the important factor to perform Christian’s prophetic ministry revealed by all People of God. In this point of view, the world where the signs of hope are possible, which Christianity accomplished in mankind civilization history, is needed to solve theoretically the principles of sympathy and sympathetic instinct which lies in Christian ‘sensus fidei’. This is the way to restore the human consciousness ultimate intention toward absolutely mysterious God, through each Christian’s ‘sensus fidei’ is to wake up the Church community by the Holy Spirit that had the salvation experiences through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o come to make the foundation of consensus through cultivated ‘sensus fidei.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Catholic Church is communicating with current civilized society, professed her as to the Church within the world and proclaims universal salvation as People of God. These were possible by rediscovering universality and history of sympathy sensibility in ‘sensus fidei’. The Church establish right this ‘sensus fidei’ as believer’s prophetical charisma in ecclesiology, should continue the prophetic ministry which demonstrate the value o

목차

들어가는 말
1. 제러미 리프킨의‘공감(共感)의 시대’이해
2.‘신앙 감각(sensus fidei)’과 공감(共感)의 인식론적 원리
3.‘신자들의 신앙 감각(sensus fidelium)’과 공감(共感)의 교회론적 연대성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용민(Song Yongmin). (2014).‘공감(共感) 능력’과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누리와 말씀, (36), 167-212

MLA

송용민(Song Yongmin). "‘공감(共感) 능력’과 ‘신앙 감각’(sensus fidei)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누리와 말씀, .36(2014): 167-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