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한자음 효(效)섭운의 모태별 층위에 대하여

이용수 58

영문명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Xiao(効) Group in Sino-Korean :Focused on a Comparative Study with Sino-Japanese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최지수(Choe Ji Soo) 이경철(Lee Kyong Chul)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48집, 133~1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효(效)섭운에 한하여 그 한국한자음의 모태별 층위에 대해 일본 오음 및 한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각 운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1등 호(豪)운은 후설저위모음 ɑ와 운미합개음 u가 결합된 운인데, 일본 오음과 한음은 대부분 -au형으로 나타나지만, 순음자는 순음 자체의 원순성으로 인해 -ou형이나 -o형으로 나타난다. 한국한자음은 한자음를 1음절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우au/와 같은 2음절표기는 나타날 수 없다. 따라서 -ɑu가 한국한자음에서 -o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1음절화로 인한 음운결합에 따른 결과로, 이를 통해 그 모태를 판별하기는 곤란하다. 2) 개구2등 효(肴)운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오음의 -eu형과 유사한 자음형으로, 2등 주모음의 전설성을 반영한 형태이므로 진음(秦音)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3) 소(宵)운 갑을류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일본 오음ㆍ한음에서도 갑을류 모두 -eu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남북조음, 절운음, 진음의 어느 층을 반영할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효(效)섭 전체의 체계상 한음보다는 오음에 가까운 체계, 즉 진음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I studied the origin of the Xiao(効) group in Sino-Korean mainly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The first rhyme Hao(豪) is combines ɑ low vowel in the back of tongue, and u. Sino- Japanese Kan'on and Go'on show mostly in the form of -au. However, Labial show in the form of -ou or -o due to rounded features in Labial iʦelf. Sino-Korean is accepts the Chinese language as one syllable, thereby unable to show two-syllable mark like -au form. Accordingly, what ɑu is appears to be o in Sino-Korean is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combination caused by one-syllable pattern. Through this, the origin of Sino-Korean in Hao(豪) rhyme cannot be discriminated. In the 2nd rhyme Yao(肴), -jo form of Sino-Korean is similar to -eu form in Go'on that means reflects of main vowel's frontness in the 2nd rhymes. thereby seeming to reflect early middle Chinese. In the 3rd rhyme Xiao(宵), A type contained medial ï appears to be -jo form like B type contained medial i in Sino-Korean. Both Go'on and Kan'on also appear to be -eu form. in Go'on and Sino-Korean, it appears to be Yo'on(拗音) form such as -eu form and -jo form, respectively, by reflecting frontness even in Yao(肴) rhyme of aperture 2nd. A type in Xiao (宵) rhyme also reflected frontness in the main vowel as in the 2nd-grade Yao(肴) rhyme, thereby being judged to be indicated as Yo'on form. Accordingly,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 matrix as a system close to Go'on rather than Kan'on, namely, to the layer before the late middle Chinese.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수(Choe Ji Soo),이경철(Lee Kyong Chul). (2015).한국한자음 효(效)섭운의 모태별 층위에 대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48 , 133-153

MLA

최지수(Choe Ji Soo),이경철(Lee Kyong Chul). "한국한자음 효(效)섭운의 모태별 층위에 대하여." 인문사회과학연구, 48.(2015): 13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