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불교와 퇴옹성철의 중도
이용수 200
- 영문명
- ‘Middle Path’ in Early Buddhism and Master Seongcheol - based on the Social Aspects of Non-discri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조준호(Cho, Joon Ho)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1輯, 265~29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의 행위와 삶은 그대로 세계관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불교의 중심 세계관이며 실천론은 중도(中道)의 가르침이다. 때문에 붓다는 중도의 가르침으로 세계관의 대립적인 문제를 극복하려했다. 이는 우리시대에 있어 성철도 마찬가지이다. 성철은 붓다가 성도 후 설한 최초의 가르침을 중도로 이해한다. 원래 중도는 하나의 이론체계보다는 실천이다. 개인과 사회 또는 세계에 있어 다툼이 없는 완전한 평화[열반]을 위한 실천의 길인 것이다. 완전한 평화의 길은 바로 이변(二邊) 또는 양변으로 알려진 극단의 분별과 차별에서 벗어난 삶을 말한다. 중도가 아닌 고락(苦樂), 자타(自他), 단상(斷常), 유무(有無), 일이(一異), 일다(一多) 등은 이변이며 분별과 차별로 발전한다. 그러한 점에서 불교의 중도는 사회 실천적 입장에서도 중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붓다는 중도로 이원적이고 이분법적인 입장을 파기(破棄)하였다. 이를 요즘 말로 바꾸면 우열과 빈부. 귀천. 미추. 정과부정, 다소, 고하, 장단 등과 같은 이분의 가치관에 사로잡혀 끊임없는 시비와 싸움의 삶을 떠나는 것을 말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러한 이변은 남녀차별, 인종차별, 민족차별, 종차별, 외모차별, 종교차별, 빈부차별, 지역차별 등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이변으로 시작하는 차별은 결국 서로 간 폭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붓다와 성철은 중도로써 분별과 차별을 떠난 적정과 평화의 삶을 말했다. 특히 초기불교의 Araṇavibhaṅga Sutta와 한역 상응경전인『구루수무쟁경(拘樓瘦無諍經)』에 사회적 실천의
문제로서 중도의 가르침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퇴옹성철의 불교 이해는 중도의 가르침으로 회통하고 있다. 모두 초기불교와 성철의 가르침은 중도로써 차별극복이라는 사회적 실천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퇴옹성철의 중도 이해가 시대를 뛰어 넘어 초기불교에서 찾아 볼 수 있음을 구명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Buddhism, the expression Middle Way or Middle Path(Pali: majjhimā paṭipadā ; Sk.: madhyamāpratipad] is used by the Buddha in his first discourse to describe the Noble Eightfold Path as the noble path to
achieve Nibbāna, instead of taking extremes of sensual indulgence and self-mortification. Seongcheol(1912~1993)
is Seon Master in modern Korean Buddhism, introducing significant role in reforming Korean Buddhism. He also expounded on the true signification of the Middle Way, stating that rather then avoiding the two extremes, the
Middle Way describ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where all dualities fuse and cease to exist as separate entities, where good and bad, self and non-self become meaningless. The Middle Way is a Buddhist term with rich
connotations, and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review the thought of the Middle Way on the social aspects of nondiscrimination. The most advanced society in the world legislated non-discrimination laws, which covers nondiscrimination of a person's race, color, national origin, gender, handicap, marital status, religion, age, etc. Especially, Araṇavibhaṅga Sutta and its Chinese counterpart of Agama bear such thought of the Middle Way in Buddhism. The master Seongcheol also emphasized dichotomy of the two extremes in the teaching of the Middle Way, and such dichotomy brings about confrontation and violence in human character and human society. That is why, he taught the Middle Way to stop dichotomy of the two extremes as the Buddha did. In conclusion, an outstanding aspect of the Middle Way refers to the correct view of life that the Buddha and Seongcheol teach, and to the actions or attitudes that will create happiness for oneself and others. Thus, Buddhism itself i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Middle Way," indicating a transcendence and reconciliation of the extremes of opposing view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성철의 중도 이해
Ⅲ. 중도의 범위와 위치
Ⅳ. 중도 가르침의 사회 실천적 배경
Ⅵ. 왜 붓다와 성철은 중도인가?
Ⅴ. 초기불교와 성철은 어떻게 만나는가?
Ⅶ. 중도는 다툼이 없는 무분별․무차별법
Ⅷ. 불이(不二)의 중도는 차별 타파를 의미
Ⅸ. 마치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종달(宗達) 이희익(李喜益)의 행적과 언론 활동 - 자서전 『인생의 계단』을 중심으로
- 여래장 사상에서 본 혜능과 고봉의 선 수증론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현전 목판본 검토 - 불명본과 새로운 판본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