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배임죄 해석의 나아갈 방향

이용수 697

영문명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breach crime interpretation of trust
발행기관
한국형사법학회
저자명
허일태(Hoh, Il-Tae)
간행물 정보
『형사법연구』형사법연구 제27권 제1호, 3~36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본주의 발전이 일찍부터 진행되었던 영국이나 미국뿐만 아니라 독일법계 이외의 대부분 국가에서도 단순 배임죄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단순 배임행위에 대한 처벌은 시민사회의 핵심 원리인 사적자치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 리가 배임죄의 성립을 확대하면 할수록 민사문제에 대한 형사법의 개입은 확대된다. 이는 민사의 형사화를 부채질한다. 형법이 건전한 경제 질서의 유지를 위해 개입하려면 첫째로 경제주체의 배임행위가 사회의 경제질서에 대해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혼란을 야기하고, 둘째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법 (私法) 등 다른 법률에 의한 해결 을 도저히 기대할 수 없어야 한다. 이를 무시한채 사적자치가 원칙인 사법의 영역 에 형법을 통한 적극적 개입, 특히 형법해석의 확대를 통한 적극적 개입은 극도로 자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배임죄의 규정은 개인의 사적자치를 보장하는 사법의 영역에 깊숙이 개입할 수 있는 법규정이라는 점에서 그 어느 형법조문보다 사적자치의 본질적 영역을 침해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형사정책상 배임죄의 완화가 요구된다고 하더라도 배임죄의 성립에 관한 확대해석의 가능성은 반드시 회피되어 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most countries, including the UK and the US, which capitalism had developed early progress, the simple breach crime of trust is almost non-existent. The reason is that the penalty for simple breach of trust deed may be a violation of the cor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of civil society. The more we exp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reach crime of trust the intervention of the criminal law for civil matters is enlarged. This fueled the anger of the civil criminal. The criminal law to intervene in order to maintain a healthy economic order first act of misappropriation of economic agents are confusing enough to not be able to afford for the social and economic order, Second Judicial In order to overcome the private law by other laws, such as the resolution shall not be hardly expected. It ignoring private autonomy through active intervention in the area of c riminal law is the principle of justice and active interventions, especiall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riminal Code should be interpreted with extreme restraint. Because the provisions of the breach crime of trust is due to the danger of prejudice in terms of the essential areas of law that may be involved deeply in the area of l aw that guarantees the individual's personal autonomy that private autonomy than any other criminal law provisions in size. Therefore, even if the relaxation of the criminal policy the breach crime of trust possibility of expanding demand, the enlarge interpretation of the breach crime of trust should be sure to avoid.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배임죄의 성립역사와 한국에서 전개과정
Ⅲ. 현행법상 배임죄 규정과 그 본질
Ⅳ. 배임죄에서 이득액의 문제
Ⅴ. “재산상의 손해”와 손해발생의 위험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일태(Hoh, Il-Tae). (2015).배임죄 해석의 나아갈 방향. 형사법연구, 27 (1), 3-36

MLA

허일태(Hoh, Il-Tae). "배임죄 해석의 나아갈 방향." 형사법연구, 27.1(2015): 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