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이용수 209

영문명
A Modern Application of the Art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Based on the Practice of Tea Meditation-Focused on Early Buddhism’s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배호(KIM, Bae-ho)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1호, 243~27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수행의 핵심은 여실지견(如實知見)에 있다. 보통 사람들의 마음이 현재에 머물기보다는 과거에 대한 집착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끌려 다니기에 불교수행은 현재에 머무는 것을 핵심으로 둔다. 오늘날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 역시 그 삶의 형태가 변했을 뿐, 마음이 겪는 괴로움은 여전하다. 우리의 마음이 현재가 아닌 과거와 미래로 정신없이 다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차(茶)와 차생활(茶生活)을 명상의 대상으로 삼아 초기불교 수행의 핵심인 알아차림과 여실지견의 계발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고는 그 방법의 일환으로 『디가니까야(Dīgha-Nikāya)』의 「마하사띠빳타나숫따(Mahāsatipaṭṭhāna sutta)」를 중심으로, 여러 초기경전에서 언급하고 있는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의 알아차림 방법을 응용하려한다. 기존의 차명상(茶冥想) 연구는 주로 행다례(行茶禮)나 차 성분의 효과를 통한 이완(弛緩)을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차 자체를 대상으로 차를 마시는 동안 마음이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핵심이다. 다시 말하면, 차의 특성을 활용해 차를 마시는 동안, 육근(六根)이 육경(六境)에 주의를 기울이고, 머물게 하여 현재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게 하는 훈련방법이다. 먼저 눈을 통해 찻잎과 찻물의 색깔이나 형태를 보고 알아차리는 것에서 시작한다. 차라는 색(色)에 마음을 기울여 분명하게 알아차리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명상자(冥想者)는 욕망이나 성냄 등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며, 지나간 과거의 후회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현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통해 지금 차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까지 알아차려, 현상을 자신으로부터 독립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처럼 차를 대상으로 육내외입처를 통한 알아차림의 진행은 명상자를 현재에 머물게 하는 손쉬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은 미얀마의 순수 위빠사나 수행인 쉐우민 사야도의 가르침을 통해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초기경전은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과 연상작용의 조절을 초심자가 본격적으로 수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진행하는 방식으로도 소개하고 있다. 결국 차명상을 활용한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은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명상법의 일환이며 더 나아가 명상자를 여실지견이라는 붓다의 가르침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는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을 통한 차명상의 현대적 활용에 대해, 효과성 검증에 앞 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whose aim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to see things as they are.’ Suffering experienced in modern daily life arises from the inability to see things as they are.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how the art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may be developed by using tea, the process of drinking tea as an object of meditation, and how tea can be applied to modern meditation.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explained by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īgha Nikāya 22). Tea meditation is not a simple physical act; it requires mindfulness of the objects one is engaged with. It begins with the moment-to-moment attention to the objects of the six sense organs. The mind dwells on these objects, perceives their characteristics in clarity, and sees them as they are. One begins with the practice of one’s visual perception by seeing the color and form of the tea leaves or brewed tea. By seeing them with clarity in concentration, meditators can block their minds from other distractions such as desires, anger, negative memories of the past, or insecurities about the future. Further,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one’s vision, of the perceived object, and visual consciousness, the practice does not end at only seeing the object but is accompanied by the awareness of seeing the object. In other words, metacognition arises. When an object arises in the mind, an awareness of the object also arises, and a mind aware of this awareness accompanies it. In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when practitioners recognize phenomena entering their minds through the six sense gates, they also notice greed, anger and ignorance arising and disappearing within their mind. When they are aware of these three unwholesome roots, they can put a stop to them. Ven. Sayadaw Shwe Oo Min explains that when eating, all of the six sense organs are activated, and thus the mindfulness componen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can be strongly stimulated. In other words, one can easily meditate under a tree or in a hut in a quiet forest, but the genuine practice of mindfulness should also possible in ordinary life settings where the six sense organs are easily stimulated. However, mindfulness of eating poses some obstacles in terms of limited eating time, the quantity one can consume, and the considerable time required for preparation. An object of meditation can best serve as the means of practice when it is easily available and not hard on the body. In this respect, tea is able to provide one of the best tools for mindfulness practice based on the six sense organs. As tea can be drunk anytime and anywhere, tea meditation can be easily practiced. In addition, as tea meditation can enhance relaxation and mindfulness, it can serve as a more appropriate object of meditation in daily life. Therefore, tea medit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n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as explained in the section on mindfulness of mental phenomena (dhammā)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차명상과 여실지견의 관계
Ⅲ. 차명상을 통한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
Ⅳ.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
Ⅴ. 마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배호(KIM, Bae-ho). (2014).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41), 243-274

MLA

김배호(KIM, Bae-ho). "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41(2014): 243-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