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이용수 116

영문명
Tiantai 天台’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五重玄義 from within the Chines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주경(KIM, Chu-ky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1호, 27~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되어 삼장(三藏)으로 대표되는 불교 문헌이 중국화 되고 수용되는 과정은 경전의 번역[譯經], 불교문헌의 교육과 이를 통한 포교[講經], 중국 불교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경전의 주석[釋經]의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 불교 경전 해석의 주석서들은 반드시 해당 경문의 해제 역할을 하는 경제석(經題釋) 부분과 경문 내용 자체를 주석하는 수문석(隨文釋)부분을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다루려 하는 불교문헌의 명칭을 해석한다는 소박한 이름[經題釋]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해제를 넘어서 그 문헌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분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심오한 고찰[宗要]이 담겨 있다. 이렇듯 경제석 부분과 수문석 부분의 두 측면으로 고찰되던 중국불교 주석문헌은 천태 지의에 이르러 도약하게 되었다. 지의는 중국 주석 전통을 발전적으로 수용하였는데, 그가 주석하는 불교문헌도 반드시 경제석 부분[玄義]과 수문석 부분[文句, 疏]으로 다루되 둘을 분리시켜 내용상 일종의 개론서와 해석서로 구성하였다. 특히 경제석 부분은, 경전을 주석할 때 반드시 분석해야 할 다섯 가지 범주인 명․체․종․용․교를 정립하고 이를 오중현의(五重玄義)라 불렀다. 지의에 의해 정비된 다섯 범주는 이후의 한역 경전 해석법의 중요한 틀로 자리 잡게 되어 후대의 주석가들이 적극 수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불교 주석전통, 특히 과판 주석서들에 대한 탐색으로 과판주석서들에 관통하는 ‘오중현의’를 주목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천태 교학상 오중현의의 본의(本意)를 본격적으로 따져보자는 것이 아니다. 중국 주석서들의 한 면을 차지하는 경제석[현의․현론․종요 등]들에 관통하는 일관된 특성을 알아보고자 오중현의를 다룬 것이다. 후대 과문과 관련된 주석서[科判註釋]들을 보면, 경제석 부분을 자신만의 범주와 방식으로 자유롭게 쓰는 학자들도 있지만, 천태가와 화엄가의 주석전통을 따른 전적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그 중에서도 천태의 오중현의는 경전 분량과 상관없이 항상 이 구성 요건 그대로 적용될 만큼 범용성(汎用性)이 크다. 아울러 오중현의가 종파를 뛰어넘어 보편성을 갖고 있는 불교해석학의 틀이 되어 가는 과정이 바로 중국적 주석 전통의 한 부분이 확립되는 과정이다.

영문 초록

After Buddhism came to China for the first time and the Buddhist canon (Tripitaka, 三藏)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Chinese, a tradition was soon established that one should begin any scripture with a simpl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經題釋, followed by the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scripture itself 隨文釋. Such a style of analyzing Buddhist scriptures results from adapting Indian Buddhist scriptures to a Chinese audience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espite the seemingly modest name of interpreting a scripture’s title 經題釋, this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contains an in-depth analysis of how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whole scripture, going beyond a simple bibliographical note. At the time of Tiantai 天台 Zhiyi (智顗, 538-597), there was a great transformation in commentaries on Chinese Buddhism scriptures. Following the traditional method, Zhiyi’s commentaries first contained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of the scripture in question, followed by a line-by-line interpretation 文句. However Zhiyi separated these two components, so that they functioned in essence as an introductory overview of the exegete’s thesis, followed by the detailed exegesis itself. He also developed the five major categories that must be includ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玄義, and so established the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or “five chapters.” Th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consists of Shiming 釋名, Bianti 辨體, Mingzong 明宗, Lunyong 論用, and Panjiao 判敎. These are “differentiating substance”, “disclosing essence”, “discussing function,” and “classifying scriptures.”These five categories became an important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Buddhist texts for numerous successive exegetes. This paper focuses on Zhiyi’s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and the patterns found in common in the introductory bibliographical analyses 經題釋 of various Chinese commentaries in respect to the "five chapters."I examined commentaries in CBETA and analyzed their literary structure by studying the textual diagram and indexed analyses of Buddhist Textual Organization (科文, Gwamun). I was able to clearly observe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was widely adopted and used in commentaries in the following generations after Zhiyi. That the principle of “five-sectioned interpretation” is employed in every scripture, big or small, or even regardless of its scope attests to its important generality. This study therefore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s made by Zhiyi in the Chinese Buddhist commentarial tradition and highlighted his scholarly brilliance as an exegete.

목차

Ⅰ. 이끄는 말
Ⅱ. 문헌들을 통해 본 천태 오중현의의 연원과 전개
Ⅲ. 경전 주석 전통 속에서의 오중현의
Ⅳ. 후대 주석서들에 나타난 오중현의의 범용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경(KIM, Chu-kyung). (2014).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불교학연구, (41), 27-56

MLA

김주경(KIM, Chu-kyung). "중국 주석 전통 속에서 본 천태 오중현의(五重玄義)." 불교학연구, .41(2014): 27-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