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능엄경』 주소(註疏)를 통해 본 과문의 특징 - 『계환해』와 『정맥소』를 중심으로

이용수 202

영문명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Gwamun in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Commentary of Jiexuan and Zhengmai Commenta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주성옥(CHU, Song-o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1호, 57~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능엄경』은 중국과 한국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경전 중 하나로, 어떤 종파의 소의경전으로 채택된 적은 없지만 천태종, 화엄종, 선종 등에서 많은 주석서가 찬술되었다. 특히 기존의 경전해석 틀로 해석되지 않는 모호한 부분이 많을 뿐 아니라 선정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때문에 주석가의 독자적인 경전 이해가 요청되었으므로 선종 계열의 주소가 많이 찬술되었다. 이런 특징 때문에 『능엄경』 주석은 중국불교에서 경전 주석이 갖는 의미와 특징을 잘 보여준다. 중국불교에서 교상판석이 경전들 사이의 관계와 위상을 정립하는 작업이라면 과판은 경의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경전의 대의를 도출하는 작업이다. 경전을 분류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 개별 경전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반대의 과정도 필요하다. 교판을 확정하는 작업과 대의를 도출하는 작업은 경전의 대의를 이해하는 데 순환적으로 작용한다. 경전을 수미일관하는 하나의 구조로 읽으려는 『계환해』와 경전의 내적 구조를 천착한 『정맥소』는 기존의 과문에 의문을 제기하며 단락나누기부터 자신의 관점을 적용시켜 전체를 일관된 체계로 구조화한다. 이 주석서들은 기존의 교리나 해석틀을 버리고 경전의 원문에 충실하게 해석하려는 텍스트중심주의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extual organization(Gwamun) in the Commentary of Jiexuan and Zhengmai Commentary, both widely distributed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in China and Korea. Even though this sutra was never accepted into the core canon of the various schools of Buddhism, many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have been written in schools such as Huayan, Tientai and Chan. The first concern that many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deal with is establishing its status and classification. In Chinese Buddhism, the panjiao (Doctrinal classification) served as a tool to def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ny different Buddhist teachings and establish the status of each, while the kwapan was a tool to analyze and clarify the structure of a scripture in order to reveal the crux of the text.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s necessary for clarifying the meaning of individual scriptures, and vice versa. The panjiao and kwapan are thus mutually synergistic tools for the greater goal of understanding Buddhist teachings. Commentaries on the Śūrańgama sutra have been very controversial due to its ambiguities and internal contradic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assess through pre-existing analytical frameworks. It also has many passages on Chan meditation which demand the exegete’s own meditation experience and hermeneutic perspective, and the Chan tradition has thus contributed many of its commentaries.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Commentary of Jiexuan Textual organization(Gwamun) analyzed this sutra as a coherent structural whole, while the Jeongmaegso Textual organization(Gwamun) focused on its internal structure. They suggested a new internally consistent Textual organization(Gwamun) structure, and applied their own hermeneutic viewpoint in their analysis of the text. These commentaries opposed conventional doctrine and frameworks of analysis with a novel focus on the text itself.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능엄경』 주석서의 종류와 특징
Ⅲ. 『능엄경』 주석서에 나타난 교판과 과판의 상호관계
Ⅳ. 『계환해』와 『정맥소』 과문의 구조와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성옥(CHU, Song-ok). (2014).『능엄경』 주소(註疏)를 통해 본 과문의 특징 - 『계환해』와 『정맥소』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41), 57-80

MLA

주성옥(CHU, Song-ok). "『능엄경』 주소(註疏)를 통해 본 과문의 특징 - 『계환해』와 『정맥소』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41(2014): 57-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