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범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대면권과 전문법칙과의 관계

이용수 187

영문명
A connection between Hearsay and Confrontation Clause for the Admissibility of the investigative statement of an accomplice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정웅석(Jeong, Oung-Seok)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4권 제1호, 7~56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상 공범의 진술과 관련하여, 첫째, 공범이 공판정에서 한 진술을 다른 공동피고인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 둘째, 공범이 수사절차에서 한 진술을 다른 공범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사용하려면 대면권 등 어떠한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지, 셋째, 다른 증거가 없는 경우에 공범의 자백만으로 피고인을 유죄로 인정할 수 있는지 등이 문제된다. 가령 乙로부터 뇌물을 수수하였다는 범죄사실로 기소된 甲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乙의 법정진술 혹은 수사기관에서의 진술이 유일한 증거인 경우 乙의 위 진술만으로 일관하여 자신의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甲을 유죄로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논의되며, 이는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을 인정할 것인가와 직접 관련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동안 형사증거법 분야에서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에 대한 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 내지 진술이 다른 공범에 대하여 어떠한 요건하에 증거능력이 인정되는지에 관해서는 큰 논의가 없었다. 판례도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법정진술에 대하여는 지속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여 왔으나,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법정외 진술, 특히 검사 작성의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하여는 이를 명시적으로 다룬 경우가 없었다. 더욱이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1항이 신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범(乙)의 진술을 들은 조사자(丙)의 증언을 다른 공동피고인(甲)에 대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조차 없으므로 해석상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피고인의 진술을 전문증거로 보는 입장에서 탈피하여, 전문법칙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시도하고자 한다. 예컨대 乙이 甲에게 뇌물을 준 사건을 전제로 乙의 진술(자백)에 대한 증거능력을 검토하면, ㉠ 乙의 공판정에서의 자백, ㉡ 乙의 수사상 인정진술, ㉢ 조사자(丙)의 증언, ㉣ 조서의 증거능력의 순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먼저 공동피고인(乙) 자신에 대한 증거능력의 요건을 검토하면, ㉠과 ㉡은 비전문증거로서 당연히 증거능력이 인정되며, ㉢은 공동피고인(乙)의 조사자(丙)에 대한 반대신문권 + 신용성의 정황적 보장(법 제316조 제1항)을 전제로, ㉣은 작성주체에 따라 검 사의 경우는 성립의 인정(반대신문권 무의미) + 신용성의 보장(법 제312조 제1항) 내지 성립의 진정 부인시 객관적 방법의 증명 + 신용성의 정황적 보장(법 제312조 제2항), 사법경찰관의 경우는 내용의 인정(법 제312조 제3항)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동피고인(乙)의 진술이 상피고인(甲)에게 증거능력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상피고인(甲)의 반대신문권의 보장으로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즉 피고인들만 법정에 등장하는 ㉠㉡㉣의 경우는 상피고인(甲)의 공동피고인(乙)에 대한 반대신문권으로, 조사자가 법정에 등장하는 ㉢의 경우에는 공동피고인(乙)은 물론 조사자(丙)에 대한 반대 신문권까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riminal procedure commonly provide for the joinder of defendants, whereby two or more persons may together be prosecuted in a single trial. Assume a case in which defendants A and B have been lawfully joined for trial, but at that trial the prosecution intends to offer against A a confession by him stating, in effect, that he and B committed the crime. That right of an accused in a criminal case to confront the accomplice against him would be violated if A, by his confession, was a accomplice against B but could not be cross-examined. So to speak, where the powerfully incriminating judicial statements of a co-accused, who stands accused side-by-side with the defendant, are deliberately spread before the judge in a joint trial. In connection with the hearsay rule in Korea, Article 312 ①, ② of the revised-Criminal Procedure(CCA) provides for the Admissibility of the Protocal containing interrogation of a suspect by a public prosecutor. But It is uncertainly that Article 312 ①, ② of the revised-Criminal Procedure(CCA) provides for the Admissibility of the Co-defendant󰡑out of court statement. Because the defendants may be charged together or separately, even if they are alleged to have participated in the same act or transaction. So in America, whether the Co-defendant admits or denies having made the statement, it has been questioned whether the opportunity for cross-examination sufficiently deals with the incriminated Co-defendant󰡑dilemma. Indeed, the cross-examination of one defendant by another may sometimes involve such conflict and antagonism between them that a severance will thereby be necessary. In light of this, trial courts should more explicitly and vigorously inquire on a case-by-case basis whether there are unacceptable risks. But In my opinion, I think that the Admissibility of the Co-defendant󰡑out of court statement should be allowed as Article 312 ①, ② of the revised-Criminal Procedure(CCA), not Article 312 ④ of the revised-Criminal Procedure(CCA). Because it seems to me that “interlocking” bears a positively inverse relationship to devastation. A co-accused' confession will be relatively harmless if the incriminating story it tells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the accused himself is alleged to have told, but enormously damaging if it confirms, in all essential respects, the accused' alleged confession. But, the Sixt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provides: In all criminal prosecutions, the accused shall enjoy the right to a speedy and public trial, by an impartial jury of the State and district wherein the crime shall have been committed, which district shall have been previously ascertained by law, and to be informed of the nature and cause of the accusation; to be confronted with the witnesses against him to have compulsory process for obtaining witnesses in his favor, and to have the assistance of counsel for his defense. So, The Confrontation Clause is applied to “witnesses” against the accused–in other words, those who “bear testimony.” The constitutional text, like the history underlying the common-law right of confrontation, thus reflects an especially acute concern with a specific type of out-of-court statement. But the Roberts test allows a jury to hear evidence, untested by the adversary process, based on a mere judicial determination of reliability. It thus replaces the constitutionally prescribed method of assessing reliability with a wholly foreign one. In this respect, it is very different from exceptions to the Confrontation Clause that make no claim to be a surrogate means of assessing reliability. For example, the rule of forfeiture by wrongdoing (which we accept) extinguishes confrontation claims on essentially equitable grounds; it does not purport to be an alternative means of determining reliability.

목차

Ⅰ. 서 설
Ⅱ. 전문증거의 개념 및 형사소송법의 입법태도
Ⅲ. 공범에 대한 수사상 조서의 증거능력 인정요건
Ⅳ. 공범에 대한 상피고인의 대면권((반대신문권)의 보장여부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웅석(Jeong, Oung-Seok). (2012).공범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대면권과 전문법칙과의 관계.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4 (1), 7-56

MLA

정웅석(Jeong, Oung-Seok). "공범의 수사상 진술의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위한 대면권과 전문법칙과의 관계."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4.1(2012): 7-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