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용수 1745

영문명
The study of the issue "The Right to Be Forgotte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박용숙(Park Yong sook) 김학성(Kim Hak sung)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1卷 第1號, 311~34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사회의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사회구성원이 자신의 사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교환하는 매체를 구두나 인쇄물에서 전파를 통한 라디오ㆍTV, 더 나아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구현한 현대적인 인터넷으로 확대시켰다. 기술적 진보는 정보유통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인류에게 지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선사하였다. 더욱이 최근에는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인터넷 사회를 참여ㆍ공유ㆍ개방의 공간으로 발전시킨 Web 2.0 시대가 도래 하면서 그동안 단순히 소극적인 정보의 소비자로만 인식되던 이용자를 적극적인 정보의 생산자로 변모시켰고, 스마트폰의 보급은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시켰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은 전송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표현의 자유의 확대라는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의 부작용 등의 출현에 따른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문제 등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전통적으로 인격권을 강하게 중시하는 유럽에서는 '잊혀질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의 개념도입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잊혀질 권리란 무엇이며 잊혀질 권리란 용어사용의 적합성과 그 권리의 기본권성에 대한 헌법적 검토가 충분하지 못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잊혀질 권리의 개념 및 헌법적 근거를 살펴본 후, 그 제한과 한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잊혀질 권리란 자신의 정보가 상당한 기간이 도과되어 적법한 목적을 위하여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음에도 타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검색되거나 검색될 수 있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경우, 이를 지우거나 정보검색의 차단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잊혀질 권리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삭제요구권(지울 권리)과 이 권리를 궁극적으로 완성시키는 검색차단요구권을 그 내용으로 한다. 잊혀질 권리의 헌법적 근거에 대해 프라이버시권의 확장이라고 이해하는 견해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고 이해하는 견해가 존재하지만, 새로운 독자적 기본권으로 이해해야 하며, 그 헌법적 근거는 일반적 인격권을 그 내용으로 하는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찾아야 한다. 잊혀질 권리는 인격의 자유로운 유지나 인격의 왜곡표현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기본권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잊혀질 권리는 대사인적 효력이 직접 인정되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그 헌법적 근거를 객관적 가치질서에서 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잊혀질 권리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게 되기 마련이다. 잊혀질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대립하는 당사자의 기본권이 충분히 존중되고 보호되는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 학계는 기본권 충돌의 대표적 해결방법으로 기본권서열이론(일반적ㆍ추상적 법익형량)과 실제적 조화원칙(구체적ㆍ개별적 법익형량)을 제시하고 있지만, 헌법의 통일성 원리에 입각하여 관련 기본권들이 최적으로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상호 정서하는 실제적 조화원칙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잊혀질 권리의 제한수단으로 작용하는 공익에는 단계이론을 적용함이 타당하다. 즉, 공익을 "공익ㆍ중요한 공익ㆍ월등하게 중요한 공익"으로 나누고, 각각의 공익에 따른 방법의 적정ㆍ피해의 최소ㆍ법익의 균형을 판단함이 타당하다.

영문 초록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of our society has developed the media by which people can express and exchange their opinions and thoughts freely from oral statements and printed materials to radio and TV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and further to modern internet realizing the world wide web (www, World Wide Web).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changed the paradigm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presented the human race with intellectual enrichment and convenience. Furthermore, recently, with the dawn of the Web 2.0 period where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elped the internet society become the venue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internet users which had previously been viewed as information consumers only have changed as active information producers. Such a phenomenon was accelerated by the wide penetration of smart phones. Such technology development, despite its benefit of expanded freedom of expression thanks to transmission technology advancement, accompanies multiple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real world such as privacy infringement or defamation due to side effects in the cyber spac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etc. recently, the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traditionally valued personal rights to a great extent have been actively discussing the use of the idea of right to be forgotten. However, wha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its suitability and basic right nature are not been sufficiently reviewed from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In this recognition, the thesis examines the idea of right to be forgotten, its constitutional ground and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thereof. First of all, the right to be forgotten can be defined as the right to claim to erase or prevent the search of certain information when such information on oneself is searchable by others continuously despite the elapse of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or is in such a situation.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constituted of the right of deletion that is about fundamental matters and the right of search prevention which implements the right of deletion.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ground for right to be forgotten, there are different views that it is the expansion of individual privacy right and that it is self-determination right of one's own individual information. It seems appropriate to view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its constitutional ground needs to be foun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on general personal rights because the right to be forgotten has the nature of fundamental rights required to maintain the freedom of human integrity or prevent distorted expressions of one's integrity.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 fundamental right whose third effect is directly recognized. Therefore, its constitutional ground should be established in objective order of values. The right to be forgotten naturally conflicts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such conflicts, a solution should reasonably respect and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involved opposing parties. The academia presents as a solution, the order of basic right theory (general/abstract balance of interest) and actual coordination principle (specific/individual balance of interest). It seems the actual coordination principle is valid as it coordinates related basic rights so that all of them are realized at the optimum level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unity. The phase theory should be applied to the public interest functioning as the restrictive mean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other words, the public interest is divided into 'public interest/important public interest/far important public interest' and optimal/damage-minimizing/legal interests should be balanced according to this category.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잊혀질 권리의 논의 배경
Ⅲ. 잊혀질 권리의 개념
Ⅳ. 잊혀질 권리의 헌법적 근거
Ⅴ. 잊혀질 권리의 제한과 한계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용숙(Park Yong sook),김학성(Kim Hak sung). (2015).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헌법학연구, 21 (1), 311-348

MLA

박용숙(Park Yong sook),김학성(Kim Hak sung).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헌법학연구, 21.1(2015): 311-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