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업신(神) 설화의 종교 경험적 의미와 여성

이용수 383

영문명
The Meaning of the Deity Eup〔업〕 Tales as a Religious Experience and Women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강성숙(Kang Sung sook)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29권,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유교는 여성에게 신앙이나 제의의 주체가 될 기회를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들은 민간신앙인 무속이나 가신신앙을 적극 수용하여 스스로 신앙의 주체가 되고 종교 제의의 주재자가 되는 경험을 했다. 가정의 재복신이자 수호신인 업신은 설화에서 그 형상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보통 공간을 이동하는 인물을 따라 그 존재를 드러낸다. 업신의 이동성은 재물이나 행운이 끊임없이 옮겨다니는 것이며, 재복이 누구에게라도 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상징한다. 또한 업신은 출현이나 존재 이유를 알 수 없는 비의성(秘儀性)을 특징으로 한다. 언제 어디에서, 왜 나타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업신은 언제 어디서나 옮겨 와서 옮겨가지 않기를 애써 기원하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업신은 대체로 부유한 곳에서 가난한 곳으로 이동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특히 여성이 매개가 되는 경우에 이러한 특징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가난한 삶 속에서 변화의 가능성은 다른 곳에서 편입되는 새로운 인물에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업신을 만들어내 스스로 부자가 되는 가짜 업신 이야기의 중심은 업신 신앙을 이용해 자신의 의도를 성공시키는 당찬 며느리에게 있다. 주인공 며느리는 새로 편입된 가족 구성원의 질서를 따르지 않을뿐더러 기존의 질서를 깨뜨리며 정면으로 맞선다. 가짜 업신 이야기에서 업신의 신성성은 여지없이 속화되고 업신 신앙 자체도 희화화되기에 이른다. 더 이상 업신의 관념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데 이야기 향유자들은 동조한 것이다. 또한 가짜 업신 이야기는 유교적 합리주의에 기반한 절용의 미덕을 더 이상 옹호하지 않는다. 가족이 당면한 현실은 절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회 경제적 기반 자체가 부의 재분배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이야기의 주인공은 애초의 질서를 부정하고 새로운 질서를 찾기 위해 속임수를 동원하는 것이다. 가짜 업신 이야기는 부의 흐름을 소통시키고 재편하는 존재가 합리적 경제관념을 지닌 여성이라는 지점에서 업신 설화의 종교적 성격과는 차이를 드러낸다. 가정의 수호와 번영을 위해 업신을 모시고 기도하던 여성이 가짜 업신 설화에 오면 가정에 당면한 문제를 직접 적극적으로 해결하기에 이른다. 가족 내부의 질서와 부의 윤리를 재편하여 자신의 가족뿐 아니라 친척 모두가 고루 먹고 살 수 있도록 만든 가짜 업신 설화의 며느리는 가신신앙의 주재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그 자신이 스스로 가족의 안위와 번영, 더 나아가 일가친척의 행복까지 책임지는 업신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가족 구성원을 먹여 살리는 실질적 가장의 역할을 여성에게 지운 것은 약자이며 타자인 여성에게 가하는 이중의 의무로 볼 수도 있겠지만, 여성을 현존하는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바깥의 존재로 인식하고 기대한 것은 여성의 역할을 인정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Women in Joseon Dynasty have had an experience of being the subject of faith accepting the deity of their family positively. The Deity Eup that is a divinity bring a family riches does not appear clearly, but usually it shows up following the characters move around. The Deity Eup moves around getting into the mover(a merchant or a mendicant priest etc.)'s load. It implies that the property and the fortune moves constantly, and anyone can get the fortune. The Deity Eup is not seen it's existence and the reason of the emergence, but mostly it moves from a wealthy place to a poor place, and wom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movement. The Fake Deity Eup tale is the story that takes advantage of Deity Eup faith and ridicules it. The daughter-in-law, the Fake Deity Eup tale's central figure is the character who does not follows new family's order that she marries into, and besides, destroys the existing order and confronts it. She secularizes the Deity Eup and fabricates the Fake Deity Eup in order to overcome the new family's poverty. The Fake Deity Eup tale does not defend the value of conservation based on confucian rationalism, but advocates reasonable sense of economy. Many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believed the Deity Eup in order to protect their family from harm and prosper the family property. They played a subject role in the life of faith. Women in the Fake Deity Eup tales solves the problems in the family independently and directly. The order within the family and thought about being rich are reorganized in the Fake Deity Eup tales. The daughter-in-law in the Fake Deity Eup tale took on a role of the Deity Eup itself by making the family happy and being better off and won recognition for her existence in one's clan and society. The Fake Deity Eup tale shows that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have been requested the role of solving the family's immediate problem, and people who enjoyed the story have cherished great expectations for the better life on women who are newly incorporated into their own family.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설화의 업신(神) 인식
3. 만들어진 업신, 신성(神聖) 주체의 향방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숙(Kang Sung sook). (2014).업신(神) 설화의 종교 경험적 의미와 여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9 , 63-94

MLA

강성숙(Kang Sung sook). "업신(神) 설화의 종교 경험적 의미와 여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9.(2014):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