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소시효배제의 근거와 실제상의 문제점 - 문화재보호법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

이용수 597

영문명
The basis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and the actual problems of exclusion - Focusing on the provisions of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
발행기관
대검찰청
저자명
이상문(Lee SangMun)
간행물 정보
『형사법의 신동향』제39호, 210~23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소시효제도란 범죄행위가 종료된 후 공소제기 없이 일정기간이 경과함으로써 국가 형벌권 및 공소권의 소멸로 범죄인으로 하여금 소추와 형벌을 면하게 함으로써 형사 피의자의 법적 지위의 안정을 법률로서 보장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공소시효의 인정취지는 증거의 산일이나 처벌감정의 희박화, 사실상태의 존중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위의 두 가지 사유가 존재하지 않거나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공소시효를 배제한 규정을 살펴보면 실질적 정의가 법적 안정성보다는 우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유가 문화재보호법상의 일정범죄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러나 문화재보호법상의 일정 범죄는 공소시효의 배제가 가능한 경우인 실질적 정의가 법적 안정성 보다 우월하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공소시효의 연장이나 배제는 실질적 정의의 측면에서 불합리가 참을 수 없는 정도에 이르렀을 경우에 하는 것이 옳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살인죄 등에서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만 법적인 측면에서 가치평가의 변화도 일정 부분 반영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따라서 공소시효의 정지의 사유를 다양하게 인정하거나, 공소시효의 기준이 되는 법정형을 인상하는 방안이 문화재보호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현재로서는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It takes for granted that if the period of limitation had expired, “No person shall be punisch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tatute of limitation” system have been pointed out for a long time, and it could be termed a significant change to have revised the “statute of limitation” i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n 50 years or so while these points were questioned persistently. However, there still exists predominant problems in its revision. In Korea there were legislation precedents of exceptional clauses on the statute of limitations system in the Special Law on Sexual Violence and Law on Protecting Juveniles on Sexual Matters. And The similar problem takes place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By approaching this subject of“statute of limitation” according to the political interests, there has been a fierce argument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limitation, and these conflicts have often been expanded. We should also have settled the questions about the exclusion of “statue of limitation” in the crimes against humanity. It would have been resolved neatly if they were dealt purely within the perspectives of the human rights, independent from the political considerations in the application of extension or exclusion of the “statue of limitation”. In the conclusion, it is not desirable for some lawmakers (assemblymen) to change the statute of limitation by enacting a special law because it is not favorable to make some exceptions of limitation on certain crimes. If the problems of statute of limitation are identifiabl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make chang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systems as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was revised in 2007. It is not favorable to make some exceptions of limitation on certain crimes i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목차

Ⅰ. 문제의 소재
Ⅱ. 공소시효재검토의 이유와 공소시효의 이론적 근거
1. 공소시효의 의의와 재검토의 문제
2. 공소시효의 이론적 근거
Ⅲ. 공소시효배제의 근거와 구체적인 사유
1. 공소시효배제의 근거
2. 구체적인 사유
Ⅳ. 문화재보호법상의 문제의 검토
1. 문제점
2. 공소시효배제의 인정여부
3. 배제나 연장가능성의 검토
Ⅴ. 결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문(Lee SangMun). (2013).공소시효배제의 근거와 실제상의 문제점 - 문화재보호법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 형사법의 신동향, (39), 210-239

MLA

이상문(Lee SangMun). "공소시효배제의 근거와 실제상의 문제점 - 문화재보호법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 형사법의 신동향, .39(2013): 210-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