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각적 이해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제로서의 대뇌백질 연결성

이용수 710

영문명
White Matter Connectivity as a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for Auditory Comprehension in the Neurologically Normal and Impaired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승진(Seung Jin Lee) 이수정(Soo Jung Lee) 송지연(Ji Yeon Song) 김가영(Ga Young Kim) 김향희(Hyang He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1, 121~13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뇌영상 기술의 발달로 백질 경로의 연결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백질 경로는 정상인에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군에서 언어 이해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주목 받게 되었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대뇌백질 연결성이 언어 이해 처리과정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성인 정상군과 뇌신경 질환 환자군의 백질 연결성을 다룬 국외 논문 19편을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언어 이해 처리과정을 음운론, 의미론, 통사론으로 나누어 살펴본 바에 의하면, 등쪽 경로들이 주로 음운론적, 통사론적 이해에, 배쪽 경로들은 의미론적, 통사론적 이해에 관여한다. 음운 이해에는 성인 정상군과 뇌신경 질환 환자군 모두에서 활모양섬유다발이, 의미 이해에는 갈고리다발, 하종단다발, 극포, 뇌궁, 활모양섬유다발 등이, 통사 이해에는 상종단다발 및 활모양섬유다발 등이 주로 관여한다. 백질의 손상 정도는 각 하위 이해처리과정의 손상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논의 및 결론: 본 종설은 언어 이해와 관련하여 피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등한시되던 백질 연결성을 재조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종설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언어 이해와 백질 연결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서 대상자, 과제, 종속변수의 형태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s emerging brain imaging technologies enable research on white matter connectivity, studies have shown the importance of white matter tracts pertaining to auditory comprehens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matter connectiv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in several population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identified 19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matter connectivity and auditory comprehension in normal adults and patients with stroke and primary progressive aphasia. Results: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in terms of phonological, semantic, and syntactic comprehension. Results indicated that dorsal tracts are mainly involved in phonological and syntactic comprehension, while ventral tracts in semantic and syntactic comprehension. In both normal and impaired groups, the arcuate fasciculus is involved in phonological processing, while the uncinated fasciculus, inf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extreme capsule, fornix, and arcuate fasciculus are important in semantic comprehension. In syntactic comprehension, the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and arcuate fasciculus play an important role. Auditory comprehension problems are affected by the extent to which white matter tracts are damage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vious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Conclusion: Fur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matter connectivity and auditory comprehension need to consider such factors as participants, tasks, and scoring system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진(Seung Jin Lee),이수정(Soo Jung Lee),송지연(Ji Yeon Song),김가영(Ga Young Kim),김향희(Hyang Hee Kim). (2015).청각적 이해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제로서의 대뇌백질 연결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1), 121-132

MLA

이승진(Seung Jin Lee),이수정(Soo Jung Lee),송지연(Ji Yeon Song),김가영(Ga Young Kim),김향희(Hyang Hee Kim). "청각적 이해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제로서의 대뇌백질 연결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1(2015): 121-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