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음 환경과 화자의 성별에 따른 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의 상관관계

이용수 51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Nasality Ratings and Nasalance Scores according to Vowel Context and Speakers' Sex: Sensitivity and Specificit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조성현(Seong Hyeon Cho) 하승희(Seung 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1, 72~8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성 정도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를 민감도와 특이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검사어의 모음환경과 화자의 성별이 두 평가방법의 상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구개열 아동 25명, 정상 아동 5명으로부터 수집된 /아/모음환경 문장과 /이/모음환경 문장 음성샘플을 듣고 10명의 청자가 등간척도평정법(EAI)과 직접크기측정법(DME)을 사용하여 청지각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화자로부터 Nasometer II 6450을 이용하여 청지각적 평가와 동일한 문장 산출 시 비음치를 수집하였다. 결과: EAI와 DME 척도를 이용한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계수는 /아/모음환경 검사어에서 EAI가 .61, DME가 .60으로, /이/모음환경 검사어에서 EAI가 .56, DME가 .5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두 검사어에서 비성에 대한 평가 측정치로서 비음치의 민감도는 .67-.87, 특이도는 .73-.83으로 나타났다. 모음환경에 따라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화자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아동의 경우만 두 평가방법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비음측정기가 청지각적 평가를 보완해줄 수 있는 타당한 도구이지만 두 평가방법 간 상관계수가 모두 .70 미만인 점을 고려하여 비음치 측정에 따른 결과 해석에 주의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검사어의 모음환경과 화자의 성별이 평가방법 간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assessment of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and to investig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Nasomet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vowel environment of speech stimuli and speakers' sex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valuation methods. Methods: Speech samples in vowel /a/ and /i/ contexts were collected from 25 children with cleft palate and 5 noncleft children. Ten trained listeners were asked to judge the speakers' recorded speech samples for the degree of hypernasality using equal-appearing interval (EAI) and direct magnitude estimation (DME) scales. Nasalance scores in the sentences were measured from the same speakers using the Nasometer II Model 6450. Results: The relationships between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using EAI and D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vowel /a/ context were .61 in EAI and .60 in DME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vowel /i/ context were .56 in EAI and .57 in DM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two vowel contexts were .67-.87 and .73-.83,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vowel contexts and speakers' sex influe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nasality and nasalance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validity for the use of the Nasometer to supplement the perceptual assessment of hypernasality. However, given that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below .70, Nasometer should be carefully used to evalu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vowel contexts and speakers' sex affec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assessment methods of hypernasality.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현(Seong Hyeon Cho),하승희(Seung hee Ha). (2015).모음 환경과 화자의 성별에 따른 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의 상관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1), 72-84

MLA

조성현(Seong Hyeon Cho),하승희(Seung hee Ha). "모음 환경과 화자의 성별에 따른 비성의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치 간의 상관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1(2015): 7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