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작업기억 제시방식 및 과제유형에 따른 수행능력 비교

이용수 1267

영문명
Domain-Specific Working Memory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임동선(Dong sun Yim) 양윤희(Yoon hee Yang) 김신영(Shin young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1, 13~23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작업기억 제시방식 및 과제유형에 따라 단순언어장애 및 일반 아동 간 작업기억 수행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각 집단에서 어휘력을 가장 잘 예측해줄 수 있는 과제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의 만 4-8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25명(남15, 여10)과 연령 및 성별이 일치하는 또래 일반 아동 25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수용어휘력검사, 시각 및 청각 작업기억(숫자, 색깔, 모양, 어휘) 과제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처리는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또래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작업기억 수행을 보였다. 또한, 시ㆍ청각 자극제시방식, 자극유형 각각에 대한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자극제시방식과 유형, 자극유형과 집단에 따른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시각-단어 폭 작업기억'이, 또래 일반 아동 집단은 '청각-숫자 폭 작업기억'이 수용어휘력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과제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결함은 이 아동들이 축적해온 어휘 학습 어려움의 근거가 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각각의 집단의 수용어휘력을 가장 잘 예측한 과제를 살펴보았을 때, 자극제시방식 및 유형이 모두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뿐 아니라 효과적인 중재를 위해 감각적 제시 및 자극 유형의 선택에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working memory performances by modality and task type, and to find the best predictor of receptive vocabular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A total of 50 children between 4 to 8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25 children with SLI and 25 TD children. The working memory task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ask types (digit, color, shape, and word span) and were presented in two modalities (visual and auditor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roups, modalities, and task types. The SLI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on all working memory tasks compared to the TD group.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ask type, and modality and task type was significant. Visual-word span was the best predictor of receptive vocabulary (REVT-R) in SLI, whereas auditory-digit span was the best predictor of receptive vocabulary (REVT-R) in TD. Conclusion: When selecting the best predictor for receptive vocabulary, the visual-word span and auditory-digit span can be used for the SLI and TD groups, respectively. Thu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the presentation method and type of stimuli when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동선(Dong sun Yim),양윤희(Yoon hee Yang),김신영(Shin young Kim). (2015).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작업기억 제시방식 및 과제유형에 따른 수행능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1), 13-23

MLA

임동선(Dong sun Yim),양윤희(Yoon hee Yang),김신영(Shin young Kim).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작업기억 제시방식 및 과제유형에 따른 수행능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1(2015): 1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