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사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중재가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20

영문명
The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Treatment on Naming Performance in Korean Individuals with Early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Using a Familiarity of Nouns Scal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모경옥(Kyeong Ok Mo) 성지은(Jee Eun Sung) 정지향(Jee Hyang Jeo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1, 34~4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환자 6명을 대상으로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semantic feature analysis, SFA)중재가 중재 및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 기타 이름대기, 표준화된 언어 및 인지검사 과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3명은 높은 친숙도 중재 후 낮은 친숙도 중재를 실시하였고, 나머지는 낮은 친숙도 중재를 먼저 실시하였다. SFA 중재는 1) 32개 이름대기 실시(16개: 중재 명사, 16개: 비중재 명사), 2) 범주 나누기, 3) 의미자질 선택, 4) 예/아니요 질문, 5) 이름대기로 실시하였다. 결과: 중재 명사와 비중재 명사 이름대기 정반응률은 증가하였으나, 중재 명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낮은 친숙도 중재 후 높은 친숙도 를 실시한 집단의 정반응률은 높았으나, 증가폭은 높은 친숙도 중재 후 낮은 친숙도를 실시한 집단이 높았다. 생성이름대기 평균 점수와 언어ㆍ인지 평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K-MMSE 사후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논의 및 결론: SFA 중재가 DAT의 이름대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재 명사에만 국한된 결과이며 비중재 명사로의 일반화는 제한적이다.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으나, 이름대기 향상에 적합한 친숙도 중재 순서는 '고→저'인 것으로 보인다. 생성이름대기와 언어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은 DAT가 퇴행성 질환으로 인지능력은 감퇴되지만, 친숙도에 따른 SFA 중재를 실시한 명사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and generalization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treatment using a familiarity of nouns scale with individuals who have early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Methods: Six individuals with early DAT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individuals with DAT were treated with low familiarity items first then moved to high, whereas the other three began with high familiarity items first. The SFA treatment protocol consisted of 5 stages: 1) confrontation naming of 32 stimuli (16-treated, 16-untreated), 2) category sorting, 3) semantic feature selection, 4) yes/no questions, and 5) nam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n treated items after SFA treatment; There were limited generalization effects on untreated items and other naming tasks. In terms of noun familiarity, the High-to-Low group seemed to have greater benefits than the Low-to-High group. Conclusion: Individuals with DA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naming performance on treated items after SFA treatment using a familiarity of nouns scale. However, the treatment effects were not generalized to untreated noun exemplars and other linguistic-cognitive tasks. Furthermore, they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erformance on the K-MMSE, indicating that their disease had progressed. Despite their clear progress with DA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y showed treatment effects on the treated ite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more diverse approaches to language treatments for individual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모경옥(Kyeong Ok Mo),성지은(Jee Eun Sung),정지향(Jee Hyang Jeong). (2015).명사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중재가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1), 34-47

MLA

모경옥(Kyeong Ok Mo),성지은(Jee Eun Sung),정지향(Jee Hyang Jeong). "명사 친숙도를 활용한 의미자질중재가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노인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1(2015): 34-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