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622

영문명
A study on the Modern Change of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이인진(Lee In jin) 최보람(Choi Bo ram)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7집 4권, 43~5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백자(白磁)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자기(磁器)이다. 이 중에서도 청화백자는 청화안료(코발트, Cobalt)로 시문된 백자로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주류 자기였다.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왕실이나 양반층에서만 향유하던 청화백자는 상품경제의 발달로 부를 축적한 중인들의 수요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자기 수요층의 증가는 다양한 기형(器形)과 문양으로 표현된 청화백자의 증가로 이어졌다. 개화기(開化期)로 접어들면서 분원(分院)이 사라지고 자기생산이 민영화(民營化)되었다. 그와 함께 외국의 자기, 특히 일본 자기가 국내로 유입되면서 조선의 자기는 경쟁력을 잃어갔다. 조선왕실의 몰락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식민지 국가로 전락했고 이로 인하여 전통단절의 위기에 봉착했다. 이후 36년간의 일제 통치하에서 일본식 산업도자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했고 6.25를 거치면서 1950년대 말까지 장장 70~80년 동안 한국 도예의 맥은 끊어진 것과 다름없었다.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고려청자나 조선백자를 재현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원대정, 권순형, 김익영 교수가 각각 조선백자에서 찾을 수 있는 조형적 특징들을 주제로 조선백자를 형상화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현대도예의 태동이 되는 대학교육의 시작으로 학생들은 전통기술을 전수 받거나 그 전통을 기반으로 변형된 형태미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제 청화백자는 단순한 민예품이 아닌 새로운 모습으로 발현되고 있다. 분원 청화백자의 기법과 양식을 적용하여 제작되거나 청화백자의 표면적 특징은 유지하지만 재료와 기법을 다르게 제작한다. 그리고 영상이나 사진 등 재료를 벗어난 작품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용(變容)되고 있다. 오늘날 다변화된 도자 속에서 조선청화백자 역시 새롭게 이해되고 다양하게 재창조 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white porcelain is a representative porcelain in the Joseon Dynasty. The blue and white porcelains were preferred than any other porcelains and decorated with poetry and prose using a blue pigment,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ente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s, which were enjoyed by only royal family or yangban , had become the target of demand by the middle class people who accumulated wealth ow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odity economy. This increase in demand of porcelain has led to the increase of white and blue porcelains expressed with various models and patterns. By the time of enlightenment, Bunwon was disappeared and production of porcelain became privatized. Along with this, as foreign porcelains, especially Japanese porcelains was brought into the country, Joseon porcelains lost competition in the domestic market. The fall of Joseon Dynasty and the agg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resulted in colonial state in Korea, which accordingly encountered the crisis of a break with tradition. Only Japanese industrial porcelains were barely maintained to produce during the 36 years under Japan's rule and Korea pottery was virtually no longer in existence for 70~80 years throughout Korean War and the end of 1950s. It was not until the late 1950s that the efforts to reproduce Goryeo celadon and Joseon white porcelain were made. Professors including Daejeong Won, Soonhyung Kwon, and Yikyoung Kim made efforts to visualize Joseon white porcelains under the theme of figurative features that can be found in Joseon white porcelains. In addition, with beginning of university education as the birth of modern pottery, students started learning traditional pottery skills or seeking modified formative beauty based on the traditional skills. Now the blue and white porcelain is expressing a new form, not just a craft. It is produced by applying the technique and mode of Bunwon blue and white porcelain or differentiating materials and technique with preservation of characteristics of blue and white porcelain on the surface. It is also produced in many transformative ways for works such as visual images or photos, far from original materials. Nowadays, Joseon blue and white porcelains have been newly understood and variously recreated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ceramic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청화백자의 변천
Ⅲ. 현대 작가들의 청화백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진(Lee In jin),최보람(Choi Bo ram). (2014).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7 (4), 43-56

MLA

이인진(Lee In jin),최보람(Choi Bo ram). "조선청화백자의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7.4(2014): 4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