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이용수 963
- 영문명
- Relation Analysis among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Focusing on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이성규(Seong gyu Lee)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87호, 349~381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상호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고,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제6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자료(2013년)이며 분석대상은 임금근로자로 1,042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차별경험'은 3개의 관측변수로 구성하였으며, '직무 만족도'는 총 11개의 항목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고, '생활 만족도'는 총 9개의 항목 중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5개의 관측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차별경험과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간의 경로계수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차별경험과 생활 만족도 간접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 구조적 모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변인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성별의 따른 잠재평균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로계수 차이는 여성의 경우 차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용형태의 잠재평균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경로계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standard disabled workers and non-standard disabled workers by using multi-group SEM. Previous literatures were most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r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few literatures related to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is,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ose factors was analysed comprehensivel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data focused on the paid workers was analysed in order to review the difference of the path coefficient by using the 6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e total 1,042 paid workers, including 750 males select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latent variables which are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composed of three observed variables, the job satisfaction classified into two types from the total 11 items with the factor analysis,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composed of five observed variables from total 9 items with the reliability analysis. To select the variables needed in this analysis, the value of Cronbach's α was used and the types of observed variables were classifi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coefficien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and the daily life satisfaction could verify the mediating role in the structural modelling. Third, the latent means of gender difference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for the path coefficient, the effect of women's discriminatory experience on the job satisfactio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n's. Finally, while the latent means of employment status differences was significant, for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standard workers and non-standard worker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 implications on discrimination on the disability,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기존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성폭력 이차피해 민감성 척도 타당화 연구
-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적 정착 영향요인 연구
- 일-가족 양립정책의 유형과 사회ㆍ경제적 성과
- 멘토링 기능이 여성 비서직종사자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에 대한 이상형적 이론구성
- 관리자의 경력목표가 직장-가정생활 부정적 상호전이과정과 유연근무제도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다층모형을 이용한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결정 요인 추정
- 청년여성의 초기 노동시장 이행실태와 결정요인
- 한국여성과학기술인단체의 역할수행
- 여성새로일하기정책 네트워크 구조 내 정부행위자의 비중과 정책성과 간 관계 분석
-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