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적 정착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342
- 영문명
-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Gender Impact Analysis Program in Korea: Application of the Multi-level analyses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둘순(Dool Soon Kim) 강민아(Min ah Kang)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87호, 159~199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어온 성별영향분석평가에 대한 이 연구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 두 가지다. 하나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었다'는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이것은 어느 한 가지의 단면적인 기준으로 정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소속기관 공무원의 성평등 의식 향상, 정책의사결정자의 성별영향분석평가에 대한 지원 증가, 정책담당자로서의 성평등 실현에 대한 책임감 증가 등 다면적인 기준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데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영향요인은 행정기관 수준의 속성을 가진 것과 공무원 개인 수준에서의 속성을 가진 요인으로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다층모형분석 결과 두 수준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집단수준에서는 정책 의사결정자 지원요인이, 공무원 수준에서는 성별영향분석평가 업무 비중 인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성별영향분석평가가 성평등 실현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제도로 성공적 정착을 하기 위해서는 정책 의사결정자의 관심과 지원 뿐 아니라 공무원으로 하여금 성별영향분석평가 업무가 비중 있는 중요한 업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Gender Impact Analysis program, which was started in 2005 in Korea as one of the policy tools for gender mainstream. We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do we mean by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GIA program in Korea? We found that this entails various outcomes such as increased consciousness and knowledge among government officials in Korea on gender effect of policies and programs that they plan and implement, strong support from high-level decision makers for the GIS programs, and increased accountability and responsiveness among policy implement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gender equality.
Our second research question involves identifying determinant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GIA system. When we conducted a multi-level analysis, we found that success factors lie both at individual levels (how much work emphasis the policy managers put on the GIA program) as well as at organizational levels (how much supportive for and interested in the GIA system decision-makers of the organanization are).
In conclusion, we note that in order for GIA to achieve its role as a gender mainstream policy tool, it is most important to have changes in the perception among policy makers of the organization and policy managers within the department to agree to the critical role of the of the GIA program.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적 정착 및 영향요인
Ⅲ.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성폭력 이차피해 민감성 척도 타당화 연구
- 성별영향분석평가의 제도적 정착 영향요인 연구
- 일-가족 양립정책의 유형과 사회ㆍ경제적 성과
- 멘토링 기능이 여성 비서직종사자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 지속성을 갖는 동거관계에 대한 이상형적 이론구성
- 관리자의 경력목표가 직장-가정생활 부정적 상호전이과정과 유연근무제도 수요에 미치는 영향
- 다층모형을 이용한 여성 노인의 우울감 결정 요인 추정
- 청년여성의 초기 노동시장 이행실태와 결정요인
- 한국여성과학기술인단체의 역할수행
- 여성새로일하기정책 네트워크 구조 내 정부행위자의 비중과 정책성과 간 관계 분석
-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직무만족도,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