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식교육적 접근

이용수 294

영문명
Knowledge Educational Approach on Developing of Creativity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박창남(Park Chang Nam) 이승철(Lee Seung Chul) 류형선(Ryu Hyung Su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73~18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창의성 교육이 전제하는 다원적 층위의 인간 발달이 지식교육과 유사한 맥락에서 검토할 소지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논리적 인과계열을 초월하는 '확산적 사고'로 창의성 개발을 설명하는 입장은 교육의 실제적 맥락에서 그 과정과 산출에 대한 제어와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창의성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교육에 대한 비판이 인간의 형성에 관여하는 지식의 내용적 측면이 아닌 교수 방법적 측면에 한정되고 있음을 통해 창의성 개발과 관련한 지식교육의 위상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이후 교과교육에서 드러나는 지식 개념의 본래적 의미가 다원적으로 드러나는 창의성의 개념적 준거와 유사성을 드러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dicates that human development with diversified level, which creativity education postulates, should be examined in a similar context of knowledge education. The approach explaining creativity development with 'divergent thinking' transcended logical causality has exposed the issue of process and result in education which can not be controlled in a practical context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tatus of knowledge education is needed to be reconsidered in that criticism of knowledge education being raised by creativity studies is confined to the aspect of teaching method rather than that of content of knowledge. In addition, this study argues conceptual criteria and similarity of creativity which diversely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concept of knowledge in subject matter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확산적 사고에 대한 재고
Ⅲ. 창의성 개발과 지식교육의 내용적 유사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창남(Park Chang Nam),이승철(Lee Seung Chul),류형선(Ryu Hyung Sun). (2012).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식교육적 접근. 창의력교육연구, 12 (2), 173-185

MLA

박창남(Park Chang Nam),이승철(Lee Seung Chul),류형선(Ryu Hyung Sun). "창의성 개발에 대한 지식교육적 접근." 창의력교육연구, 12.2(2012): 173-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