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이용수 708

영문명
Controlling Unauthorized Disclosure of Sensitive Case Information Prior Criminal Case Trial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허경미(Huh Koung Mi)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2권 2호, 282~310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한국 사회는 다양한 대중매체와 IT기기를 통하여 온갖 정보의 홍수 속에 노출되어 있으며, 범죄수사에 대한 정보 역시 예외가 아니다. 특히 사회적인 이목을 집중시키는 범죄의 경우 그 수사과정이 언론에 의하여 매우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그리고 속속들이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수사 과정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는 대체로 국민의 알권리 보호 및 언론보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용인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수사기관의 기소 전 범죄수사 내용의 발표는 피의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며 동시에 무죄추정의 원칙에도 배치된다. 나아가 피의사실 공표죄의 구성요건을 충족시키는 행위이기도 하다. 또한 사건당사자, 즉 피의자 및 피해자의 사생활이 노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가족의 신상정보가 유출되어 평온한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등의 부작용도 심각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박시후사건을 중심으로 경찰의 수사과정에서의 수사내용 공개 및 언론보도의 자유, 그리고 개인의 인권침해와의 충돌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첫째, 피의사실 공표죄는 국가적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가 아닌 개인적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의 영역으로 포섭되어야 한다. 둘째, 수사기관이 발표할 수 있는 수사사실의 범주 및 언론의 취재범위, 방법 등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언론 관련법의 정비를 통하여 언론계의 취재범위 및 수단, 그리고 보도의 범주를 좀 더 명확히 하여야 한다. 넷째, 수사기관 종사자 및 시민의 의식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건당사자의 적극적인 방어 및 대응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Media floods society with all kinds of information, including sensitive information from criminal case investigations. Information about ongoing criminal investigations is particularly appealing to the public, and thus of special interest to the media. Freedom of press and the public's right to know legitimizes the release of all available information to the public. However, release of sensitive case-related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ies prior to public trial of defendants is both ill-advised and criminal under Korean law. Most importantly, premature release of information compromises the defendant's presumption of innocence among the public and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But nearly as important is the derogatory effect such release has on the lives of alleged criminals, the crime victims and their families, whose privacy may be thereby invaded, and the peace of their lives destroyed. Several steps should be taken to eliminate unauthorized disclosure of sensitive criminal case investigation information: First, we should characterize such unauthorized release as an abridgement of individual rights, and not just against national legal interests; Second, we should enact legal guidelines regarding discl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to the public prior to trial of criminal cases, including limits to the nature of media's use of disclosed information; Third, we should differentiate between releas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ategories of crimes being charged such that the more serious crimes charged would warrant heightened care of sensitive information; Fourth, investigative officers and citizens should be accorded the same protections as the suspects under investigation; protection. Fifth, victims should be especially guarded against unauthorized disclosure consequences so that they are not mentally/emotionally victimized a second time, this time by investigative agencie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피의사실공표죄의 이론적 배경
Ⅲ. 박시후사건의 전개 및 쟁점
Ⅳ.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경미(Huh Koung Mi). (2013).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2 (2), 282-310

MLA

허경미(Huh Koung Mi). "수사기관의 피의사실 공표죄의 논쟁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2.2(2013): 282-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