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

이용수 2055

영문명
A Study on Liberal Arts Education: Implications to General Education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이창수(Lee Chang Soo) 송백훈(Song Back Hoon) 전종규(Jeon Jong Gyu)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4권 제6호, 93~116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중세 유럽에서의 고전적 형태, 르네상스 이후의 인문주의 중심의 형태, 19세기 과도기 형태 등 자유교육의 역사적ㆍ철학적 변화과정과 이에 따른 개념 및 핵심교과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또한 19세기 후반 이후 대학이 연구중심대학교 또는 종합대학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자유교육의 개념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제도화되고 차별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교양교육 개편과 대학 구조 개편과 관련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교육과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은 개념적으로 다르다. 자유교육 또는 일반교육은 직업관련 응용학문 교육인 직업교육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여러 문제에 대한 다면적이고 통합적인 이해와 문제해결을 목표로 기초학문의 통합적 경험(기초학문 배분이수의 교과과정)을 강조한다. 이에 비해 한국의 교양교육은 전공교육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전공이 아닌 교양 또는 전공의 기초를 준비하는 교육이다. 둘째, 20세기 이후 또는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자유(liberal arts) 교육의 'arts'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수학ㆍ논리학 등 방법론의 기초학문을 의미한다. 이를 인문학이나 교양으로 이해하는 것은 오류이다. 셋째, 교양과정 개편의 방향을 전문화교육과 직업교육에 대립적인 일반교육의 강화에서 찾는 그간의 시도는 정당하다. 넷째, 최상위 대학 또는 연구ㆍ대학원중심대학으로의 발전을 지향하는 대학의 경우, 미국 최상위 대학의 일반과정과 유럽의 중등이후 교육과정에서, 교양교육 개편의 방향을 벤치마킹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차상위 대학 또는 직업목적 교육의 포괄적 대학교로의 발전을 지향하는 경우에는, 기초지식 중심 또는 학술 목적에서 탈피하여, 응용지식과 직업능력(사고력, 문제해결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 기초학문의 일반과정으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in the concepts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core disciplines of various types of liberal arts education, such as the classical one in the medieval Europe, the one after the Renaissance, and the ones in the 19th century, and two modern types shown at modern universities (research universities, comprehensive universities and liberal arts colleges), from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The implications to Korea's higher educ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genera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general education) and cultivation- centered general education in Korea. Liberal arts education, often compared with vocational or professional education, emphasizes general and comprehensive study of basic and core disciplines (core distribution areas) as a foundation of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of contemporary issues. But Korean one, usually compared with specialized education, prepares students with general and less-academic knowledge before specialization. Second, 'arts' of contemporary liberal arts education usually mean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cluding logics and mathematics as methods of inquiry). Thus, interpreting liberal arts as (disciplines of) humanities is misleading. Finally, colleges and universities aiming at different developmental paths (research university or job-oriented comprehensive university) should have different approach even in the sam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courses: one for research university emphasizing core values of 'liberal arts' and the other emphasizing job-skill values of 'liberal arts', for example,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vocational purpos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자유교육의 변화과정
Ⅲ. 연구중심대학의 확립과 자유교육
Ⅳ.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수(Lee Chang Soo),송백훈(Song Back Hoon),전종규(Jeon Jong Gyu). (2014).자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 비교교육연구, 24 (6), 93-116

MLA

이창수(Lee Chang Soo),송백훈(Song Back Hoon),전종규(Jeon Jong Gyu). "자유교육의 개념에 대한 고찰." 비교교육연구, 24.6(2014): 93-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