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滿江紅>ㆍ<映山紅>의 실상과 의의

이용수 35

영문명
and 's the Meaning of existence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심은경(Shim Eun Ku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9권,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장편 한문소설 「옥수기」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심능숙(1782-1840)의 산문세계를 조명하였다. 이는 심능숙의 문집 『후오지가 19세기 초반 산문사의 전개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주목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심능숙의 산문세계를 그의 문화적 취향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시사, 시회의 아취를 담은 소품문, 우정을 담은 소품문, 원예취향을 담은 소품문의 세계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9세기 초반 심능숙에 이르러 작가의 의식과 산문창작의 성격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논의하였다. 심능숙의 산문에는 집단이나 현실에 대한 책임감이나 우환의식을 찾아 볼 수 없다. 그는 지배계층으로서 사회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자임하지 않았다. 한마디로 음풍농월이라 부를 수 있는 세계, 즉 개인적인 취향과 문화적 기호에 충실한 소품문을 창작하였다. 이러한 심능숙의 산문에는 바로 이문자오(以文自娛)의 창작논리와 창작실천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문학이 사회적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것이 비록 경제적 토대를 갖춘 도시적 문화, 개인적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문의 영역에서 문학의 자율성과 오락성을 추구하고 개아성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변화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ing a meaning of the existence and the truth Lee, Jong-Rin(이종린)'s <Manganghong> and <Yeongsanhong>. These are the works which was not able to receive a lot of interests in the existing researchers. Also, a result of study is not enough yet. While I recognize and accept achievements of the existing study about <Manganghong>, I consider the beginning of study with the different of assumption of the existing study. was considered as a particular literary work of a flowering banner(개화기), and existing researchers insisted that this wark has any veins in the history ofliterature. This insist orginates the Chinese character HutGok(한문희곡) tradition and a flowering banner's performance culture background. Because the was known as the translation of. It was not able to receive an aggressive interest of researchers more, <Yeongsanhong> was recognized only with Korean translation, so the researchers did not take notice the essence and inner character of the work. I attempt approach on <YeongSanHong> seriously, am going to look for the existence meaning of <YeongSanHong> except the meaning that get in relation with <Manganghong>. I trid to reveal the intention of a writer to adapt <Yeongsanhong> for the performance was included in the process <Manganghong> was adapted for <Yeongsanhong>. Also, <Yeongsanhong> has a close relation to ChangGeuk(창극) that had developed from Pansori(판소리) and the 1910′s performance situation. Specially, this has a meaning as materials that can consider a performance cultural atmospheres and a situation including a performance space of 1910's. As a result, these two works are considered meaningful works generated in a Chinese character HuiGok tradition of a flowering banner and background of performance culture of 1910's.

목차

1. 머리말
2. <만강홍>의 한문희곡으로서의 형식적 체제 고찰
3. 「영산홍」 개작을 통한 본격적 공연희곡으로서의 체제 정비
4. 개화기 문학으로서의 위상과 전승사적 의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은경(Shim Eun Kuung). (2003).<滿江紅>ㆍ<映山紅>의 실상과 의의.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9 , 127-156

MLA

심은경(Shim Eun Kuung). "<滿江紅>ㆍ<映山紅>의 실상과 의의."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9.(2003):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