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長期保護施設의 開發에 관한 연구(Ⅱ)

이용수 121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ngterm Care Facility(2) -on the Social Perspective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인수(In Soo Le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16권 2호, 102~119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6.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기보호시설이 사회적으로 갖는 의미와 노인들이 자식과의 별거를 결정하고 장기보호시설에서 생활하게되는 과정의 이론적 측면, 그리고 앞으로 한국에 다양한 형태의 장기보호시설이 도입될경우 반영되어야할 지리적, 환경적 문제가 다각적으로 분석, 고찰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제안되었다. 1. 한국의 전체 가구중 60세 이상의 노인이 독신으로 혹은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는 이른바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이 1988년의 5%에서 1994년 8%로 증가하는 등 자녀로부터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노인의 비율이 매년 9∼10%씩 증가하고 있으며 60세이상 노인의 40%이상이 유료노인주거시설에서의 생활을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공유주택, 노인아파트, 장기보호시설등 노인부부 흑은 독신 노인이 거주할 수 있는 이른바 노인주거시설의 수요욕구가 수년이내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것이 자명하고 이에 대비한 노인주거시설의 건설대책이 시급히 요망되며 특히 독립주거와 요양주거단위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연속장기보호시설의 도입에 대한 법적 지침의 설정이 시급히 요망되고 있다. 2. 한국사회의 전통적인 부정적 시각으로 인하여 많은 한국의 노인들이 노인주거시설의 입소를 기피하는 현실하에서, 비교적 건강한 상태의 노인이 복합적 연속 장기보호시설의 독립주거구역에 입소할경우 자신보다 덜 건강한 노인들과의 대조(Contrast)에서 오는 상대적인 생활만족감이 커지고 또한 전문적인 건강관리, 간호, 재활치료를 통하여 독립생활로 복귀하는 다른 입소자의 예를 보며 건강관리와 재활치료에 대한 강한 의욕을 가질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상적인 한국형 노인주거시설로서의 복합형 연속장기보호시설에 대한 정책적인 입소 권장과 운영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3. 한국노인의 지리적 선호를 반영하는 방안으로서 한국에 도입될 복합형 연속 장기보호시설은 병원, 물리치료소등이 인접해 있고 응급시 종합병원과의 협조체제가 잘 이루어지면서도 정원가꾸기, 산책 등의 옥외활동이 보장되는 대도시 인접형 자연휴양지의 조건을 만족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fast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nuclear families have been creating substantial needs for age-homogeneous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since 1960s in Korea. In this study, investigation on social contexts of longterm stays at various forms of continuing care facilitie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propose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s follows : (1) Despite tremendous increase in elderly population and the economic level of the Korean elderly, there are very limited number of government managed care facilities.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 dramatic needs for longterm care elderly facilities of private ownership in the near future in Korea. (2) Twenty percent of the households in Korea are those with elderly hoseholds aged 60 or over, and about 40 percent of the Korean elderly want to live independent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re is also a consistent annual increasing rate of 10% for the elderly-only households, and a tremendous contrast in the rates of elderly-only household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the rate is only 5% in urban areas but higher than 21% in rural areas. Therefore regionally differentiated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proposed. (3) As for geographic preferences, most Korean elderly wan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o be located on "the vicinity of medical facilities, as the first priority", and "seaside resort, for the second priority". Therefore, the proper location of the longtermcare facilities are proposed to be on shoreside near large cities, where the residents can enjoy the two preferences.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사회학적분적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수(In Soo Lee). (1996).長期保護施設의 開發에 관한 연구(Ⅱ). 한국노년학, 16 (2), 102-119

MLA

이인수(In Soo Lee). "長期保護施設의 開發에 관한 연구(Ⅱ)." 한국노년학, 16.2(1996): 102-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