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본 청구영언』 내 평시조에 나타나는 여성적 목소리와 그 의미

이용수 183

영문명
The Female Voice and its Meaning Brought out in Pyungsijo of 『Chungguyoungen』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남정희(Nam Jeong 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6권, 97~125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시조의 화자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성과와 한계를 인식하고 조선 후기 평시조에 나타나는 여성적 목소리의 일단을 검토해 보고자 했다. 18세기 전반 가장 중요한 시조 텍스트인 청구영언에 나타나는 시조 작품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하여 여성적 목소리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효과적인 논의의 전개를 위해서 시조 작품 속에 나타나는 화자의 메시지 전달이 누구를 지향하느냐에 따라서 화자 지향의 목소리와 청자 지향의 목소리로 나누어서 그 모습을 고찰하였다. 화자 지향의 여성적 목소리가 나타나는 시조에서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은 님과의 이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 화자는 자신이 청자가 되는 내적 독백을 하게 되어서 주관적인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반면에 청자 지향의 여성적 목소리는 화자 지향의 여성적 목소리와는 다른 정서적 울림을 지닌다. 화자보다는 청자를 지향하는 작품들에서는 그 화자의 시선은 주관보다는 외부로 돌려져 있고 발화 문맥 속에서 때로는 가정된 청자와 대화하려는 태도를 보이며 여성적인 정조나 감상은 약해졌다. 18세기 전반 무렵에 향유된 평시조에 나타나는 이러한 여성적 목소리는 달라진 문학관습과 가창 환경 속에서 일정한 의미를 형성한다. 이 여성적 목소리에는 개인적 자아와 더불어서 사회적인 것, 즉 여성이 결합된다. 그리고 유교적 남성 지배 이데올로기가 문화적 전범이 된 사회에서 사회적 자아로서 여성 화자는 정서적, 계급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새로운 의미들을 시조 작품 속에 투영할 수 있었다. 여성의 목소리로 말하는 화자는 님과의 애정만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문제를 좀더 다양하게 시조 작품 내부로 끌고 왔다. 이것은 화자와 청자를 포함한 현실 세계와 구체적인 삶의 국면으로 시적 담화의 실제적 관심이 확대될 수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이러한 관심의 확대는 시조 향유 공간에서 실제로 노래를 듣는 청자와 시조 텍스트의 거리를 좁히고, 노래의 상업화라는 다음 시대와 연결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for examining a specific feature of female voice brought out in Pyungsijo in the late of Chosun. The research focused on the analyzing the Sijo in ꡔChungguyoungenꡕthat is the most important poetic text in the 18th century. In this paper, the female speakers appeared in works are divided into a speaker-oriented female voice and a listener-oriented female voice. A speaker-oriented female voice expressed own feeling inherent in self, at this time, a speaker talked to herself. On the other hand, a listener-oriented female voice expressed different sentiment. The speaker who had that voice looked to the outside world rather than the inner world and didn't fully express feminine sentiment and mood. The female voice in Pyungsijo of the first half of the 18the century made significant meaning in changed convention of literature and atmosphere of singing. This female voice included individual self and social self as woman. In a male-dominated society of Chosun, normative tradition of lyric had controled writing Sijo. At that time, the speaker who talked in Sijo works by female voice could poured out new social, cultural and emotional meaning onto the Sijo. Through writing the Sijo in which appeared that voice, a poet expanded thematic area of Sijo from simple affection for a man in love poem into variety of human life and mind. And the expansion of theme in creation closed the distance between Sijo text and many real audience who delighted in Sijo song as an amusement in the later times.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 제기
Ⅱ. 여성적 목소리의 범위와 작품의 존재 양상
Ⅲ. 여성적 목소리의 두 지향과 질감의 차이
Ⅳ. 여성적 목소리 출현의 시조사적 문맥과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정희(Nam Jeong Hee). (2007).『진본 청구영언』 내 평시조에 나타나는 여성적 목소리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6 , 97-125

MLA

남정희(Nam Jeong Hee). "『진본 청구영언』 내 평시조에 나타나는 여성적 목소리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6.(2007): 97-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