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의 건축과 주거문화

이용수 991

영문명
Goguryeo Architecture and Dwelling Cultur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전호태(Jeon, Ho-Ta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7號, 45~99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의 마을유적, 관방유적, 사원지, 궁궐지 발굴 결과와 고분벽화의 건물도 및 건물도 배치방식, 벽화고분 내 실물 건축부재, 유적 출토 건물 및 부대시설 모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고구려 건축 및 주거문화의 기본 양상이 일부분 드러난다. 고구려 초기부터 민가에는 쪽구들이 설치되어 겨울철 난방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관방시설에 속하는 보루나 성의 건물지에도 방 한 편에 一자고래나 ㄱ자고래를 놓는 온돌난방이 수용되었지만 귀족 저택에서는 이러한 난방방식이 적극적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온돌난방은 사원에서도 제한적으로 수용되었고 궁궐에서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로 보아 고구려에서는 오랜 기간 좌식과 입식 생활이 혼용되었으며 계층에 따라 혼용의 정도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에서 민가는 주로 초가로 지어졌지만 귀족저택이나 관청, 사원, 궁궐 등은 지붕에 기와를 올린 기와집이었다. 고분벽화의 제재 배치 방식으로 볼 때 귀족저택은 평면구조상 사랑채와 안채로 나뉘어졌고 살림시설들은 안채 공간에 배치되었다. 귀족저택과 사원, 궁궐의 주요 건물 사이는 전돌길로 이어졌으며 건물의 기둥, 도리, 보는 다양한 무늬로 장식되었다. 고분벽화는 궁궐이나 사원 뿐 아니라 귀족저택의 건물 중에도 2층 건물이 있었음을 확인시켜준다. 고구려에서 온돌난방이 확산되고 평상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면서 고구려인은 좌식생활에 더욱 익숙해졌다. 난방과 취사를 겸하도록 고안된 부뚜막이 널리 사용됨으로 말미암아 고구려인의 음식문화는 주ㆍ부식체계로 정리되며 음식조리법도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좌식 생활이 점차 일상화 되는 와중에도 고구려인의 의복문화가 상ㆍ하의 체계를 유지한 것은 고구려인이 본래는 정주농경이 아닌 수렵ㆍ목축을 생계양식으로 삼았던 민족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Research sources on Goguryeo's architecture and dwelling culture can be collected through excavations of major architectural sites and studies of tomb murals. Aspects of Goguryeo architecture and dwelling culture were partly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es of village sites, city walls, temple sites, and palace sites. The pictures of buildings on tomb murals, actual tomb structures, materials used for tomb construction, and building miniatures found at those sites are also major sources of information. From early years of Goguryeo, partial floor heating systems were used for winter heating. For watch towers and other buildings attached to city walls, ondol were built on the corners of the rooms. The floor heating system, however, was not readily adopted to aristocratic houses and palaces. It was only limitedly used in temples. This suggests that floor seating and chair seating were both used in Goguryeo for a long period of time, but the pattern of their mixed use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class of the dwellers. Commoners of Goguryeo mostly lived in thatch-roofed houses. Aristocratic houses, temples, and palaces, however, all had tiled roof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s of tomb murals, aristocratic dwelling spaces were divided into sarangchae (male space) and anchae (female space), and kitchens and other facilities were located in anchae. Buildings and halls of aristocratic houses and temples were connected by brick roads, and the their pillars were decorated with various patterns and designs. Tomb murals also reveal that not only palaces and temples but also aristocratic houses had two storied buildings. As the ondol heating system expanded and day beds were commonly used, Goguryeo people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floor seating. With the extended use of buddumak ovens, for both floor heating and cooking, Goguryeo cuisines started to adopt "main meal and side dishes" system. Cooking methods were also influenced by this change. Although floor seating became popular, the clothing maintained the top-bottom system, indicating the ethnic origin of Goguryeo people as hunters and rancher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건축 및 주거문화 자료
Ⅲ. 자료의 분석 및 정리
Ⅳ. 주거문화와 생활양식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호태(Jeon, Ho-Tae). (2013).고구려의 건축과 주거문화. 백산학보, (97), 45-99

MLA

전호태(Jeon, Ho-Tae). "고구려의 건축과 주거문화." 백산학보, .97(2013): 45-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