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4

영문명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dicators for Older Person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미혜(Kim, Mee Hye) 정경희(Chung, Kyung Hee) 정순둘(Chung, Soon Dool)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0권 1호, 241~261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인인구는 어느 인구계층보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적 부담과 영향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첫째, 노인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 노력, 둘째,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의 파악, 셋째, 국제적 비교요구와 복지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노인복지지표개발의 필요성이 크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노인복지지표개발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해 보고, 한국사회지표와 여성 및 아동지표연구를 기초로 하여 노인의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노인복지지표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복지지표개발을 위한 시발적인 연구로서 한국 노인의 삶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노인복지지표개발에 기초가 된 기본원칙은 1. 노인의 삶의 독특성 반영; 2. 노인 삶의 향상을 위한 사회적 대응의 반영; 3. 노인의 개인적 자원의 반영; 4. 주관적 지표의 활용이다. 노인복지지표체계는 우리나라 노인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 그들의 생활과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 현황을 객관적 지표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에 대해 노인이 느끼는 만족도를 주관적인 지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노인의 배경상황은 노인의 생활현황과 노인복지서비스 현황의 전제가 된다는 가정하에 제시되었으며, 객관적인 지표를 통하여 생활현황과 서비스현황을 살펴보고, 주관적인 지표들을 통하여 생활현황에 대한 만족도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노인복지지표는 『배경』, 『생활현황』, 『서비스현황』, 『생활만족도』, 『서비스만족도』 등 5개 부분과 23개 영역, 53개 하위영역, 120개 개별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배경」부문은 3개 영역, 5개의 하위영역, 9개 개별지표, 『생활현황』 부분은 6개 영역, 16개 하위영역, 50개 개별지표, 『서비스 현황』 부분은 5개 영역, 10개 하위영역, 20개 개별지표 『생활만족도』부분은 7개 영역, 13개 하위영역, 23개 개별지표 『서비스만족도』부분은 5개 영역, 9개 하위영역, 10개의 개별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120개의 지표 중 76.7%에 해당하는 92개의 개별지표만이 자료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가용자료가 있기는 하나 개별지표에서 정의한 내용과 일치하지 않거나 65세 이상 연령에 대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즉, 연령 인지적(age-sensitive)이지 않은 통계자료만이 확보된 개별지표도 21개로 전체 지표의 17.8%이다. 전혀 가용통계자료가 없는 개별지표도 23개로 전체 개별지표의 19.2%에 달하고 있다. 가용통계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노인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 목표는 부분적으로만 달성될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또 다른 제한점으로는 가용자료의 제한으로 노인복지의 현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회 변화측정기능과 사회정책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서의 지표기능에 대해서는 살펴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as been increased rapidly and impacted to society in many respects. Therefor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dicators for older persons is necessary in order to 1) see the social effort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related to older persons, 2) investigat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impacts, 3) provide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improvement of older persons l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s of social welfare for older persons in Korea. The basic principles to develop social indicators for older persons are as follows: 1) the reflection of unique characters of older persons; 2) social response to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living for older persons; 3) the reflection of personal resources; 4) utilization of subjective indicators.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사회지표의 이론적 배경
Ⅲ. 노인복지지표체계구성의 기본 방향
Ⅳ. 노인복지지표체계의 구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혜(Kim, Mee Hye),정경희(Chung, Kyung Hee),정순둘(Chung, Soon Dool). (2000).노인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 (1), 241-261

MLA

김미혜(Kim, Mee Hye),정경희(Chung, Kyung Hee),정순둘(Chung, Soon Dool). "노인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1(2000): 241-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